[59630] 쿠웨이트 및 이라크 주재 공관 철수 관련 각국 대응 동향, 1990-91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9630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쿠웨이트 및 이라크 주재 공관 철수 관련 각국 대응 동향, 1990-91
skos:prefLabel
  • [59630] 쿠웨이트 및 이라크 주재 공관 철수 관련 각국 대응 동향, 1990-91
skos:altLabel
  • 쿠웨이트 및 이라크 주재 공관 철수 관련 각국 대응 동향, 1990-91
  • 쿠웨이트및이라크주재공관철수관련각국대응동향,1990-91
mofadocu:index_Num
  • 31829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2.3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1-0016
mofadocu:inFile
  • 1
mofadocu:inFrame
  • 0001-0217
mofadocu:openYear
  • 2022
bibo:abstract
  • 1990~91년 중 쿠웨이트 및 이라크 주재 각국 공관 철수 동향임. 
     
    1. 이라크의 주쿠웨이트 주재 공관 철수 요청 
     • 이라크 외무부는 1990.8.9.자 공한을 통해 쿠웨이트 합병을 이유로 쿠웨이트 주재 외교공관을 8.24.부로 폐쇄하고 공관 업무를 주이라크대사관에 이관할 것을 요청함.
    
    2. 미국의 반응
     • 미 국무부는 1990.8.16. 한국 등 30여 국의 미국 주재 대표를 초치, 브리핑을 통해 G-7, 소련, 스위스 등과 협의를 가진 후 주쿠웨이트 외교공관의 폐쇄를 요구하는 이라크 정부의 공한은 무효라는 입장을 채택했다고 설명함.
     
    3. 주쿠웨이트 외교공관의 철수 현황(1990.8.29. 현재)
     • 철수 결정: 21개국
      - 아주지역(6), 미주지역(2), 구주지역(6), 아중동지역(7) 등
     • 잔류: 43개국 
      - 아주지역(6), 미주지역(3), 구주지역(17), 아중동지역(17)
    
    4. 주이라크 공관 인원 축소
     • 주이라크 미국대사관은 미국・이라크 간 전쟁 가능성이 높아지자 1990.12.26. 현재 전체 공관원 23명 중 5명만 잔류시킴.
     • 주이라크 일본대사관도 1991.1.13. 이후 대사 등 3명만 잔류시키기로 결정함.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mofa:yearOfData
  • "1990"^^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