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573] 한.팔레스타인 관계, 1991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957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한.팔레스타인 관계, 1991
skos:prefLabel
  • [59573] 한.팔레스타인 관계, 1991
skos:altLabel
  • 한.팔레스타인 관계, 1991
  • 한.팔레스타인관계,1991
mofadocu:index_Num
  • 31756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2.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1-0010
mofadocu:inFile
  • 19
mofadocu:inFrame
  • 0001-0076
mofadocu:openYear
  • 2022
bibo:abstract
  • 1991년 중 한・팔레스타인 간의 관계 재조정 검토 관련 내용임.
    
    1. 주요르단대사 및 주예멘대사는 1991.10.23. 중동평화회의가 시작된 국제 정세를 감안, 팔레스타인과의 관계를 대이스라엘 관계 조정과 연계하여 전향적으로 검토할 것을 외무부에 건의함.
    
    2. 한국 정부의 팔레스타인 관계개선 대책 방향
     • 중동 정세 및 주한 이스라엘 상주대사관 재개 허용방침을 감안, PLO(팔레스타인해방기구)와의 관계개선을 전향적으로 검토
     • 정부가 PLO를 민족해방운동기구로 사실상 승인하고 있음을 감안, PLO의 요청이 있을 경우 대표부가 아닌 연락사무소 형식으로 허용, 균형된 중동 정책 추구
    
    3. 외무부는 1991.11.8. 주일본, 주이탈리아, 주영국, 주프랑스대사관에 대팔레스타인 관계개선 검토를 위해 아래 사항을 파악・보고할 것을 지시함
     • 주재국이 접수한 PLO 상주대표부의 국제법상 성격
     • 중동평화회담 진전에 따른 주재국의 대팔레스타인 관계개선 전망
     •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승인국 및 외교관계 수립국
     
    4.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승인국 및 상주대표 파견 현황
     •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승인국: 119개국 
      - 비동맹 국가: 아프가니스탄, 알제리, 북한 등 101개국
      - 비동맹 아닌 아시아 국가: 중국, 몽골, 필리핀, 태국 등 4개국
      - 사회주의 국가: 알바니아, 불가리아 등 10개국 
      - 서구지역 국가: 오스트리아, 그리스, 스페인, 터키 등 4개국 
     • 대사 등 상주대표 파견국: 50개국
      - 인도, 말레이시아, 폴란드, 유고, 사이프러스, 터키, 세네갈, 탄자니아 등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mofa:yearOfData
  • "1991"^^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