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487] 걸프사태 : 자료 및 언론보도, 1990-91. 전3권 해외주요언론보도 분석, 1991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9487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걸프사태 : 자료 및 언론보도, 1990-91. 전3권
skos:prefLabel
  • [59487] 걸프사태 : 자료 및 언론보도, 1990-91. 전3권 해외주요언론보도 분석, 1991
skos:altLabel
  • 걸프사태 : 자료 및 언론보도, 1990-91. 전3권
  • 걸프사태:자료및언론보도,1990-91.전3권
mofadocu:index_Num
  • 31665
mofadocu:volumeNum
  • V.3
mofadocu:volumeName
  • 해외주요언론보도 분석, 1991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1.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1-0005
mofadocu:inFile
  • 11
mofadocu:inFrame
  • 0001-0151
mofadocu:openYear
  • 2022
bibo:abstract
  • 1991.1.19.~91.3.4. 외무부가 작성한 걸프사태에 대한 미국 주요 언론보도의 분석 내용임.
    
    1. 미국 주요 언론 매체
     • New York Times, Washington Post, Wall Street Journal, Christian Science Monitor
    
    2. 주요 내용
     • 미국 언론들은 1991.1~3월간 미국의 대이라크 공습 및 지상전 개시, 걸프전쟁의 영향, 전쟁 수행 방법, 월남전의 교훈, 이라크의 대응, 서방국가와 아랍권의 반응, 소련의 평화 중재 노력,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 처리 등 종전방안, 걸프전쟁이 1992년 미국 대선에 미치는 영향, 사우디의 부상 등 향후 중동질서 및 평화구도 등 걸프사태의 동향과 전망에 대해 보도함. 
      - 1.19. 미 언론들은 부시 미국 대통령의 대이라크 개전을 지지하고 쿠웨이트 해방, 걸프지역에서의 안정 확보, 냉전 이후 집단안보 체제 유지를 위한 확고한 선례 구축 등 미국 정부의 목표 달성 여부는 전쟁의 수행 방법에 달려 있다고 보도함.
      - 2.2. New York Times는 미국 행정부가 아랍봉건왕조와 원유를 위해서 전쟁을 수행하여 냉전 종식의 중요한 기회를 상실했다고 보도함.
      - 2.6. Christian Science Monitor는 팔레스타인 참여 문제, 이라크의 역할, 레바논 내부사정 등으로 중동회의 개최의 어려움을 보도함.
      - 2.28. Washington Post는 이라크의 패퇴로 급진적 아랍민족주의가 퇴조하고 걸프지역에서 약화된 세력균형이 새로이 형성되며 사우디아라비아의 지도력 부상을 예상함.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0"^^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