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239] 재소련 한인동포 현황, 1989-90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9239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재소련 한인동포 현황, 1989-90
skos:prefLabel
  • [59239] 재소련 한인동포 현황, 1989-90
skos:altLabel
  • 재소련 한인동포 현황, 1989-90
  • 재소련한인동포현황,1989-90
mofadocu:index_Num
  • 31499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91.5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0-0140
mofadocu:inFile
  • 4
mofadocu:inFrame
  • 0001-0145
mofadocu:openYear
  • 2021
bibo:abstract
  • 1989~90년 중 재소련 한인동포 현황 및 실태에 관한 내용임.
    
    1. 재소련 동포 허진허웅배씨와의 간담회 
     • 참석자
      - 한국 측: 이홍구 통일원 장관, 통일원 차관, 조사연구실장 등 
      - 소련 측: 허진, 이베오리작가, 정주영 회장 방소 시 통역, Golen PoskiSombaminko 사장
     • 허진 발표내용 요지
      - 심정으로는 한국사람이고 법적으로는 소련사람이라고 할 수 있음. 동포들은 조국의 분단을 괴로워하고 있음.
      - 소련 내 동포들은 법적으로 세 가지북한국적자, 소련국적자, 무국적자 등로 분류됨. 소련국적자가 대부분이며, 소수의 무국적자들 중에는 기회를 보아 남쪽으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사람도 있음.
    
    2. 재소련 한인동포 현황 및 사적탐방 보고서
     • 장소: 하바롭스크, 사할린스크, 타슈켄트, 레닌그라드, 모스크바, 이르쿠츠크
     • 방문자단장: 최서면 한국연구원 원장
     • 교민 분포
      - 소련 내 동포는 약 39만 명으로 소련 전체 인구의 0.1%
      - 거주 지역: 극동지역,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즈, 투르크메니스탄
    
    3. 사할린 동포현황 및 대책 보고
     • 현황
      - 소련 정부의 태도 유연화를 배경으로 사할린 동포의 모국방문과 영주귀국이 현저하게 증가되고 사할린 동포문제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가 
     • 추진 대책
      - 사할린 동포 실태조사, 국내 수용태세 정비, 대일본 교섭 강화, 한・소련 간 직접교섭 추진
    
    4. 전소고려인연합회 창립총회1990.5.17.~18., 모스크바가 소련 내 한인단체대표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됨.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mofa:yearOfData
  • "1989"^^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