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234] 미국의 대외정책 일반, 1990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923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미국의 대외정책 일반, 1990
skos:prefLabel
  • [59234] 미국의 대외정책 일반, 1990
skos:altLabel
  • 미국의 대외정책 일반, 1990
  • 미국의대외정책일반,1990
mofadocu:index_Num
  • 3147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0-0138
mofadocu:inFile
  • 9
mofadocu:inFrame
  • 0001-0264
mofadocu:openYear
  • 2021
bibo:abstract
  • 1990년 중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등 대외정책에 관한 내용임 
    
    1. 미국의 외교정책 목표 및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 베이커 미 국무장관은 1990.2.1. 상원 외교위에서 1990년도 미국의 5대 외교정책 목표를 아래와 같이 발표함. 
      - 소련의 개혁정책 및 동구 국가의 민주화 지원 등 민주주의 가치 확산 
      - 동구, 아시아, 남미국가의 통제경제정책 완화 및 민간부분의 자율성 제고 등 시장경제원칙 확산 
      - 지속적인 군비통제 추구 및 지역분쟁의 평화적 해결 노력 등 평화 증진
      - 환경보호, 테러리즘 공동대처 등 범세계적인 위험으로부터 세계 보호
      - 아태지역 국가 간의 새로운 지역협력체 창설 노력 및 NATO의 정치적 성격강화 등 우방국과의 동맹 강화
     • 베이커 국무장관은 상원 외교위에서 미국의 대한국 안보공약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필수적이며 생산적인 남북대화가 한반도 긴장완화와 통일의 관건이라면서 북한의 개방화를 위한 노태우 대통령의 정책을 지지한다고 발표함.
    
    2. 미국의 아태지역 정책 목표
     • 솔로몬 미 국무부 동아태차관보는 1990.2.22. 하원 외무위 증언을 통해 1989년 동구 공산정권의 붕괴로 아시아 공산주의 국가에 대한 개혁압력이 가중되고 있다고 평가하고 1990년도 미국의 아태지역에서의 5대 정책 목표를 아래와 같이 발표함.
      - 미국・일본 동반자 관리, 아시아 집단안보에 대한 컨센서스 재확인, 지역분쟁 해결, 미국・중국 관계 안정화 도모, 태평양지역 경제협력 증진
     • 솔로몬 차관보는 한국 정부의 북방정책이 중국과의 경제교류 증진 및 소련과의 정치적 돌파구를 마련하였다고 평가하고 미국은 북한을 개방시키고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유도하는 한국의 입장을 지지하며, 1988.12월 이래 7차례 미국・북한 간 접촉 등 북한과의 대화를 위해 노력 중이라고 함. 
    
    3. 미국의 대NATO 정책
     • 부시 미국 대통령은 1990.5.4. 오클라호마 주립대학 졸업식 연설을 통해 동구의 민주화와 유럽 주둔 소련군의 철수에 따라 유럽에서 미국의 철수를 주장하는 신고립주의에 반대한다고 하고 미국은 유럽세력으로 남을 것이라고 강조함.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mofa:yearOfData
  • "1990"^^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