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115] 핵 사고 관련 국제협약 한국 가입. 전2권, 1990.7.9 발효 조약 제1009, 1010호 V.1 1986-87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9115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핵 사고 관련 국제협약 한국 가입. 전2권, 1990.7.9 발효 조약 제1009, 1010호 V.1 1986-87
skos:prefLabel
  • [59115] 핵 사고 관련 국제협약 한국 가입. 전2권, 1990.7.9 발효 조약 제1009, 1010호 V.1 1986-87
skos:altLabel
  • 핵 사고 관련 국제협약 한국 가입. 전2권, 1990.7.9 발효 조약 제1009, 1010호 V.1 1986-87
  • 핵사고관련국제협약한국가입.전2권,1990.7.9발효조약제1009,1010호v.11986-87
mofadocu:index_Num
  • 30721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42.5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0-0090
mofadocu:inFile
  • 6
mofadocu:inFrame
  • 0001-0265
mofadocu:openYear
  • 2021
bibo:abstract
  • 1986~87년 중 핵 사고 관련 국제협약의 한국 가입에 관한 내용임.
    
    1. 제1차 IAEA국제원자력기구 특별총회1986.9.24.~26., 비엔나
     • 소련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1986.4.26.로 핵 사고시 국제협력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특별총회가 개최됨.
     • 회의 결과
      - 핵 사고의 조기통보에 관한 협약 및 핵 사고 또는 방사능 긴급사태 시 지원에 관한 협약 채택
     • 협약 서명국 
      - 핵 사고의 조기통보에 관한 협약: 58개 회원국
      - 핵 사고 또는 방사능 긴급사태 시 지원에 관한 협약: 57개 회원국 
     • 한국은 이시용 주오스트리아대사가 정부대표로 참석협약 미서명
      - 북한은 9.29. 2개 협약 서명 및 잠정 적용 선언
    
    2. 외무부는 1987.1.20. 핵 사고의 조기통보에 관한 협약 및 핵 사고 또는 방사능 긴급사태 시 지원에 관한 협약에 대한 서명 및 비준 검토를 위한 관계 부처과학기술처, 법무부, 국방부, 동력자원부, 환경청, 재무부, 안기부 의견을 문의함.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Org
mofa:relatedEvent
mofa:yearOfData
  • "1986"^^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