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599] 유고슬라비아 정세, 1983-90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8599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유고슬라비아 정세, 1983-90
skos:prefLabel
  • [58599] 유고슬라비아 정세, 1983-90
skos:altLabel
  • 유고슬라비아 정세, 1983-90
  • 유고슬라비아정세,1983-90
mofadocu:index_Num
  • 31480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0-0139
mofadocu:inFile
  • 1
mofadocu:inFrame
  • 0001-0202
mofadocu:openYear
  • 2021
bibo:abstract
  • 1983~90년 중 유고슬라비아의 주요 정세 동향임. 
    
    1. 1983~89년도
     • 1983.5.13. Peter Stambolic 유고 대통령 주재하에 개최된 대통령부 회의에서 Mika Spiljak 부통령을 신임 대통령으로, Vidoje Zarkovic 대통령부 위원을 부통령으로 선출함.
     • 1988.12.30. Branko Mikulic 수상 내각이 유고 역사상 최초로 4년 임기 중 1년 반을 남기고 총사퇴를 선언, 유고 의회가 이를 승인함.
      - Mikulic 수상 내각의 사퇴는 동 내각이 제출한 1989년도 예산안에 대해 슬로베니아 및 크로아티아 2개 공화국이 승인을 거부한데 이어, 기타 유고 내 공화국들도 동 내각의 1989년도 경제정책에 대해 비판을 가한데서 기인 
     • 1989.3.16. 안테 마르코비치 수상이 영도하는 유고 제9대 신내각이 정식으로 출범
    
    2. 1990년도 
     • 1990.5.15. Borisac Jovic 유고 대통령이 취임함.
     • 유고 내 민족 분규
      - 7월 초 슬로베니아 및 크로아티아공화국, 연방정부로부터의 분리 및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주권 선언을 함.
      - 7.2. 코소보 의회세르비아 내 자치주, 세르비아로부터 분리・독립을 선언함코소보 의회: 190명 중 알바니아인 154명.
      - 7.25. 크로아티아 내 세르비아인의 주권 및 자치 선언
     • 세르비아 및 몬테네그로 제2차 투표
      - 12.9. 실시된 총선 결과 과반수 미달 선거구에서 제2차 투표 실시를 결정하고 12.23. 실시된 제2차 투표 결과, 세르비아공화국의 경우 사회당전 공산당이 총 의석 250석 중 2/3 이상의 지지를 획득, 몬테네그로공화국에서도 Bulatovic 공산당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는 한편, 공산당 세력이 의회 125석 중 83석을 차지한 것으로 잠정 집계
      - 세르비아공화국에서의 공산당 세력 압승은 Milosevic 대통령으로 대변되는 민족주의에 대한 유권자들의 지지로 평가됨.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Event
mofa:yearOfData
  • "1983"^^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