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562] 나미비아 독립, 1989-90. 전3권 V.1 1989.1-6월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8562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나미비아 독립, 1989-90. 전3권 V.1 1989.1-6월
skos:prefLabel
  • [58562] 나미비아 독립, 1989-90. 전3권 V.1 1989.1-6월
skos:altLabel
  • 나미비아 독립, 1989-90. 전3권 V.1 1989.1-6월
  • 나미비아독립,1989-90.전3권v.11989.1-6월
mofadocu:index_Num
  • 3143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0-0136
mofadocu:inFile
  • 10
mofadocu:inFrame
  • 0001-0149
mofadocu:openYear
  • 2021
bibo:abstract
  • 1989.1~6월 중 나미비아 독립을 위한 1978년 유엔 안보리 결의 이행 및 나미비아 독립투쟁세력SWAPO,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남아공 간 충돌사태 관련 내용임.
    
    1. 나미비아 독립을 위한 안보리 결의 4351978 이행 
     • 유엔 안보리는 1989.1.16. 나미비아 독립을 위한 안보리 결의 4351978 이행 개시일을 4.1.로 결정함안보리 결의 629.
     • 유엔 안보리는 2.16. 안보리 결의에 따라 4.1.부터 개시될 나미비아 독립절차 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UNTAG나미비아 평화유지군 규모에 관한 유엔사무총장의 보고서를 승인하는 한편 안보리 결의 632를 만장일치로 채택함.
      - 동 결의에 따라 유엔사무총장은 1차적으로 4,650명의 군사요원, 800명의 민간 선거감시원 및 500명의 경창 감시원을 나미비아에 파견할 수 있게 됨. 
      - 유엔사무총장 대변인은 5.9. UNTAG 군 요원 및 경찰 감시요원 전원이 5.9.자로 배치완료 되었으며, 군 요원은 나미비아 내 약 30개 지점, 앙골라 내 2개 지점, 경찰요원은 윈드훜 본부에 26명, 기타 전국 각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고 함.
    
    2. SWAPO・남아공 간 충돌사태
     • 1989.4.1. 북부 오카헨지앙골라 국경으로부터 15km 지점 등 지역에서 나미비아 독립투쟁세력서남아인민기구: SWAPO 게릴라와 남아공 군 및 경찰 간 총격전이 발생함. 
     • 남아공 외무장관의 유엔사무총장 앞 서한1989.4.4. 요지
      - 1,000명 이상의 SWAPO 게릴라 병력이 나미비아에 침투해 있으며 이들은 SWAPO 본부와 교신중
      - 앙골라 내 SWAPO 병력이 상당한 규모로 나미비아 국경 근접지역으로 이동해 있음.
      - 상황의 급격한 악화를 막는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나미비아 평화 프로세스 전체가 붕괴될 위험에 처해 있음에 주의를 환기함.
      - 안보리의 묵인하에 SWAPO가 합의를 위반하는 상황에서는 남아공도 그 의무 이행을 중지할 권리를 가짐.
     • SWAPO 측은 4.8. 나미비아 내 SWAPO 게릴라들에게 72시간 내 전투중단, 재집결 및 앙골라로 퇴진할 것을 명령함으로써, 나미비아 충돌사태는 일단 종결됨.
mofa:relatedOrg
mofa:relatedEvent
mofa:yearOfData
  • "1989"^^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