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362] GATT 쇠고기 패널보고서 권고사항 이행관련 한.호주, 한.뉴질랜드 협상, 1989-90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8362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GATT 쇠고기 패널보고서 권고사항 이행관련 한.호주, 한.뉴질랜드 협상, 1989-90
skos:prefLabel
  • [58362] GATT 쇠고기 패널보고서 권고사항 이행관련 한.호주, 한.뉴질랜드 협상, 1989-90
skos:altLabel
  • GATT 쇠고기 패널보고서 권고사항 이행관련 한.호주, 한.뉴질랜드 협상, 1989-90
  • gatt쇠고기패널보고서권고사항이행관련한.호주,한.뉴질랜드협상,1989-90
mofadocu:index_Num
  • 31190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65.31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0-0120
mofadocu:inFile
  • 14
mofadocu:inFrame
  • 0001-0168
mofadocu:openYear
  • 2021
bibo:abstract
  • 1989.11.7. GATT관세및무역에관한일반협정 소고기 패널보고서 채택에 따른 한・호주, 한・뉴질랜드 및 한・캐나다 소고기 개방협상 관련 내용임.
    
    1. 제1차 한・호주 및 한・뉴질랜드 소고기 협상
     • 협상일정: 1989.12.18.~19. 뉴질랜드웰링턴, 12.21.~22. 호주캔버라
     • 수석대표
      - 한국 측: 신구범 농림수산부 축산국장
      - 호주 측: Darren Gribble 외교무역부 아주국장, 
      - 뉴질랜드 측: Dick Nottage 외무부 경제수석차관보 
     • 소고기 수입자유화에 대한 한국 정부 입장
      - 현 단계에서 소고기 수입자유화는 고려할 수 없으며, 연도별 쿼터증량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
    
    2. 제2차 한・호주 및 한・뉴질랜드 소고기 협상서울
     • 협상일정: 1990.2.20. 호주, 2.23. 뉴질랜드
     • 수석대표
      - 한국 측: 신구범 농림수산부 축산국장
     • 협상 결과
      - 자유화일정 관련. 한국 측은 현 단계에서 일정 제시 곤란 입장 고수, 호주 및 뉴질랜드는 대략적 자유화일정만이라도 제시 희망
      - 쿼터증량 관련, 한국은 기본쿼터 5만 톤을 기초로 1990년 53,600톤 제시, 호주는 1990년도 7만 톤에 매년 2~3만 톤 증량 희망, 뉴질랜드는 약 10만 톤 희망
    
    3. 한・호주 및 한・뉴질랜드 소고기 협상 타결
     • 1990.4.25. 한・호주 소고기 협상 타결, 5.31. 합의문 최종 서명캔버라
     • 1990.6.26. 제3차 한・뉴질랜드 소고기 협상 타결, 7.10. 합의문 최종 서명웰링턴
    
    4. 한・캐나다 소고기 협상
     • 1989.12.22. 주한 캐나다대사관은 소고기 양자협상 희망 통보
     • 1990.1.15. 외무부는 주한 캐나다대사관 측에 미국, 호주, 뉴질랜드와 같은 형식의 양자협상을 캐나다를 포함하여 모든 이해당사국과 개최하기는 어려우며 외교경로를 통해 이행문제를 협의하기를 희망함을 전달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Org
mofa:yearOfData
  • "1989"^^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