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205] 한.호주 원자력정책협의회, 제1차. Canberra호주, 1990.2.26-3.2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8205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한.호주 원자력정책협의회, 제1차. Canberra호주, 1990.2.26-3.2
skos:prefLabel
  • [58205] 한.호주 원자력정책협의회, 제1차. Canberra호주, 1990.2.26-3.2
skos:altLabel
  • 한.호주 원자력정책협의회, 제1차. Canberra호주, 1990.2.26-3.2
  • 한.호주원자력정책협의회,제1차.canberra호주,1990.2.26-3.2
mofadocu:index_Num
  • 31009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63.63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0-0108
mofadocu:inFile
  • 9
mofadocu:inFrame
  • 0001-0130
mofadocu:openYear
  • 2021
bibo:abstract
  • 제1차 한・호주 원자력정책협의회가 1990.2.26.~3.2. 호주 캔버라에서 개최됨.
    
    1. 개최 경위
     • 1989.8월 호주 정부는 한・호주 원자력협정에 의거, 제1차 원자력정책협의회를 1990.2월 호주에서 개최할 것을 제의함.
    
    2. 대표단수석대표
     • 한국 측: 한영성 과기처 원자력국장
     • 호주 측: Kim Jones 외무무역부 군축안보 및 원자력국장
    
    3. 주요 의제
     • 한・호주 원자력협정 운영 평가, 핵비확산정책, IAEA국제원자력기구에서 양국 협력방안 
     • 핵수출통제제도, KAERI한국원자력연구소와 ANSTO호주원자력연구소 간 협력약정 체결 추진 등
    
    4. 주요 결과
     • 양측은 원자력 발전현황, 우라늄 수요 및 공급, 원자력 대중홍보 및 환경문제 등 협의
     • 한국 측은 한・호주 원자력협정 제6조 및 제14조 개정을 제의하였으며, 호주 측은 외교경로를 통해 검토의견을 통보하기로 함.
     • 양측은 핵물질 도입절차 간소화를 위해 한・호주 행정약정에 의한 선적별 통고절차를 생략하기로 합의함.
     • 양측은 IAEA에 대해 지지를 표명하고 한국은 IAEA 이사회에 지속적인 참여를 희망함.
     • 한국 측은 최근 수립된 한국의 핵수출통제제도를 설명하고 호주 측의 기술전수를 희망하였으며 호주 측은 한국의 Zangger 위원회 가입을 지지할 것을 약속함.
     • 한국원자력연구소와 호주원자력연구소 간 협력약정을 체결하기로 합의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Org
mofa:relatedEvent
mofa:yearOfData
  • "1990"^^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