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835] FAO유엔식량농업기구의 대북한 지원사업, 1990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7835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FAO유엔식량농업기구의 대북한 지원사업, 1990
skos:prefLabel
  • [57835] FAO유엔식량농업기구의 대북한 지원사업, 1990
skos:altLabel
  • FAO유엔식량농업기구의 대북한 지원사업, 1990
  • fao유엔식량농업기구의대북한지원사업,1990
mofadocu:index_Num
  • 30488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33.414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0-0072
mofadocu:inFile
  • 11
mofadocu:inFrame
  • 0001-0010
mofadocu:openYear
  • 2021
bibo:abstract
  • 1990년 중 FAO유엔식량농업기구의 대북한 지원사업 관련 내용임. 
    
    1. FAO를 통한 대북한 기술협력 가능성 보고
     • 주이탈리아대사는 1990.4월 최근 북한 측이 잠업사업 진흥을 위해 FAO에 지원을 요청할 움직임이 있다며 이런 경우 FAO는 한국 잠업전문가의 대북한 파견을 요청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하면서 이에 대한 정부 입장을 문의
      - FAO는 대개도국 기술협력사업의 일환으로 개도국에 전문가를 파견, 잠업 기술을 지도하는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현재 FAO에서 근무 중인 한국인임종성 경북대 교수이 FAO 내에서 동 사업을 전담하면서 상당수의 한국인 전문가를 여러 개도국에 파견하고 있음.
    
    2. FAO를 통한 대북한 기술협력 지원 관련 입장 통보
     • 외무부는 1990.5월 북한이 잠업사업의 자국 유치를 위해 FAO에 요청해 올 가능성에 대비, 이에 대한 아래와 같이 정부 입장을 통보
      - 북한이 FAO의 지원을 정식으로 요청해 올 경우 이를 가능한 한 측면지원
      - FAO가 한국 잠업전문가의 대북한 파견을 요청해 올 경우 이를 수락할 것. 단, 현 남북한 관계를 고려하여 한국인 전문가 파견을 위해서는 FAO가 북한 측으로 부터 한국인의 신변안전 및 무사귀환, 여타 국제기구 파견 인원과 동등한 활동의 자유 등을 먼저 보장 받아야 할 것임.
mofa:relatedOrg
mofa:yearOfData
  • "1990"^^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