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525] 한.소련 정상회담. San Francisco, 1990.6.4. 전11권 V.6 구주지역 반응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7525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한.소련 정상회담. San Francisco, 1990.6.4. 전11권 V.6 구주지역 반응
skos:prefLabel
  • [57525] 한.소련 정상회담. San Francisco, 1990.6.4. 전11권 V.6 구주지역 반응
skos:altLabel
  • 한.소련 정상회담. San Francisco, 1990.6.4. 전11권 V.6 구주지역 반응
  • 한.소련정상회담.sanfrancisco,1990.6.4.전11권v.6구주지역반응
mofadocu:index_Num
  • 29787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3.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0-0021
mofadocu:inFile
  • 9
mofadocu:inFrame
  • 0001-0250
mofadocu:openYear
  • 2021
bibo:abstract
  • 1990.6.4.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한・소련 정상회담 관련 구주지역 반응임.
    
    1. 각국 정부 반응1990.6.5. 
     • Mclaren 영국 외무부 아주・미주담당부차관
      - 한・소련 정상회담은 이례적인 것으로 소련이 한국을 중요시하고 있다는 증거
     • Schenfelder 독일 외무부 동아과 한국담당관
      - 한국의 북방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를 항상 기대하여 왔으며, 조속한 외교관계 수립으로 연결되기를 희망
      - 개인적인 추측으로는 금년 가을 이전에 관계가 수립될 것으로 전망
     • Laszlo Ivan 헝가리 외무부 제3국장
      - 한・소련 정상회담은 한국 북방외교의 커다란 성과를 의미하며, 중국과의 정상화만 남았음.
     • 아일랜드 부수상 겸 국방장관
      - 동구의 대변화와 함께 국동지역 및 한반도 등에도 긴장완화 및 변화 기대 
     • Vindenes 노르웨이 외무차관
      - 한・소련 정상회담은 극동에서 냉전의 벽이 무너지고 긴장완화의 방향으로 나가는 역사적 거보의 시작이며, 한・소련 관계개선은 한반도 평화는 물론 세계평화에 커다란 기여를 할 것이 틀림없음.
    
    2. 언론 보도
     • 독일 Sueddeutsche Zeitung1990.6.5.
      - 한국이 지금까지 추진해 온 북방정책의 가장 큰 성공
      - 소련은 한국과의 관계발전을 통해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잠재력 있는 교역 상대를 얻었음.
     • 스페인 ABC6.5. 
      - 고르바초프의 대한국 관계에 전격적 조치, 오랜 냉전의 종식
     • 이탈리아 Corriere della Sera6.5.
      - 고르바초프는 미국에서 또다시 냉전구조의 종식을 위한 조치를 취함. 
     • 영국 Daily Telegraph6.6.
      - 한・소련 정상회담으로 한국의 북방정책은 최고의 성과를 얻었으며, 양국 국교정상화를 위한 서막으로 평가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Event
mofa:yearOfData
  • "1990"^^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