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457] 한.유고슬라비아 관계개선, 1989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7457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한.유고슬라비아 관계개선, 1989
skos:prefLabel
  • [57457] 한.유고슬라비아 관계개선, 1989
skos:altLabel
  • 한.유고슬라비아 관계개선, 1989
  • 한.유고슬라비아관계개선,1989
mofadocu:index_Num
  • 29689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2.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0-0015
mofadocu:inFile
  • 10
mofadocu:inFrame
  • 0001-0060
mofadocu:openYear
  • 2021
bibo:abstract
  • 1989년 중 한・유고슬라비아 간의 관계개선 동향임, 
    
    1. 한・ 유고슬라비아 수교 추진
     • 한・ 유고 양국은 1988.9월유엔 및 1989.1월파리 양국 외무장관 합의에 따라 주유엔대표부를 접촉창구로 하여 양국간의 관계개선 문제를 협의하기로 결정함.
    
    2. 유고슬라비아 외교관 접촉
     • 1989.5.4. 주유엔대사는 1989.5.4. Kotevski 주유엔 유고대표부 공사를 접촉하여 한국의 ILO국제노동기구 가입에 대한 지지를 요청한바, 동인은 유고 정부가 지지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본다는 의견을 피력함. 
     • 1989.5.19. 주인도네시아대사관 관계관은 5.19. D. Gajik 주인도네시아 유고대사관 참사관을 접촉하여 헝가리 등 동구권 국가들이 소련과의 협의를 통해 수교 결정을 할 수 있으나 유고는 독자노선을 추구하는 비동맹국가로서 모든 문제를 스스로 결정해야 하고 북한의 반대가 집요하여 한국과 수교 결정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언급함.
    
    3. 한・유고슬라비아 합작 호텔 건립 추진
     • 주캐나다대사는 1989.2.20. 주캐나다 유고대사가 9월 베오그라드에서 개최될 예정인 비동맹정상회의 준비를 위한 신규호텔 건설사업에 한국기업의 참가를 요청해 왔다면서 이에 대한 외무부 입장을 문의함.
     • 외무부는 2.27. 합작투자에 대한 보장 장치가 없는 상황에서 투자는 회수불능 사태에 대한 대처 방안이 미비하므로 한국 민관사절단의 유고 방문 시 유고 측에서 동 건을 거론하도록 지시함.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Person
mofa:yearOfData
  • "1989"^^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