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394] 한.룩셈부르크 정무일반, 1984-90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739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한.룩셈부르크 정무일반, 1984-90
skos:prefLabel
  • [57394] 한.룩셈부르크 정무일반, 1984-90
skos:altLabel
  • 한.룩셈부르크 정무일반, 1984-90
  • 한.룩셈부르크정무일반,1984-90
mofadocu:index_Num
  • 29577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2.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0-0008
mofadocu:inFile
  • 12
mofadocu:inFrame
  • 0001-0007
mofadocu:openYear
  • 2021
bibo:abstract
  • 1984~90년 중 한・룩셈부르크 간의 관계 동향임.
    
    1. 주벨기에대사는 1984.7.26. Raymond Petit 룩셈부르크 외무부 아주국장 면담 시 룩셈부르크 신정부의 대한반도 정책에 대해 문의함. 
     • 동 국장은 한국동란 시 혈맹인 양국간 우호협력관계가 더욱 긴밀해지고 있어 신정부에서도 대한對韓 관계는 불변 입장이라고 말함.
      - 지속적 고도성장을 이룩하고 있는 한국과 경제기술협력 분야에 더욱 역점이 두어져야 한다고 강조 
    
    2. 주벨기에대사는 1989.10.26. Robert Goebbels 룩셈부르크 경제・공공시설 및 교통장관전 외무 및 대외무역담당국무상을 오찬에 초대하여 양국 관계에 대해 의견교환을 함.
     • 동 장관은 1990년 중 통상사절단을 한국에 파견하여 양국간의 경제・통상 및 투자증대 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라고 함.
    
    3. Jean-Louis Wolzfeld 신임 주한 룩셈부르크대사가 1990.3.26. 외무부차관과의 면담에서 룩셈부르크가 금번에 한국에 비상주공관을 개설한 것은 상징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의미도 크다고 언급함.
mofa:relatedPerson
mofa:yearOfData
  • "1984"^^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