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105] 서부사하라 문제, 1988-89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7105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서부사하라 문제, 1988-89
skos:prefLabel
  • [57105] 서부사하라 문제, 1988-89
skos:altLabel
  • 서부사하라 문제, 1988-89
  • 서부사하라문제,1988-89
mofadocu:index_Num
  • 29235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9-0099
mofadocu:inFile
  • 13
mofadocu:inFrame
  • 0001-0065
mofadocu:openYear
  • 2020
bibo:abstract
  • 서부사하라 문제에 관한 내용임.
    
    1. 유엔 및 OAU(아프리카단결기구)의 개입
    • 1975.11월 스페인이 식민지인 서부사하라를 포기하게 되자, 원주민 독립투쟁단체인 폴리사리오와 인근국인 모로코, 모리타니아 및 알제리 간 분쟁이 발생함.
    - 1976.2월 폴리사리오가 알제리에서 망명정부 수립
    • 폴리사리오가 OAU에 가입함에 따라 모로코가 OAU에서 탈퇴하게 되어 서부사하라 문제는 아프리카국가 간의 갈등으로 확산됨. 
    - OAU는 당사자 간 직접 협상을 통한 해결을 권유 
    • 케야르 유엔사무총장은 1988.8월 분쟁당사국에 평화해결안을 제시하고 9월 유엔 안보리 결의 CS/RES/621)를 채택함.
    - 주민자치를 위한 국민투표의 준비, 감시 및 이행을 유엔사무총장 특별사절이 관장
    - 서부사하라 주둔 모로코군의 단계적 감축 및 잔류 모로코군에 대한 유엔 옵서버그룹의 감시와 폴리사리오군의 특정지역에의 배치 및 유엔 옵서버그룹의 감시
    
    2. 평화해결안 이행의 어려움 
    • 1988.5월 모로코와 알제리 간 국교 정상화 및 1989.1월 핫산 모로코 국왕의 OAU 중재안 수용표명 등으로 국민투표 실시 및 휴전협정 체결 가능성이 높아짐.
    • 그러나 국민투표 실시는 양측의 구체적 방안에 대한 이견으로 답보상태에 이르렀으며, 폴리사리오군이 1989.10.7.과 11.8. 서부사하라 주둔 모로코군 진지를 공격함에 따라 국제적으로 서부사하라 문제가 다시 부각됨.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8"^^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