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626] 중동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중동평화협상, 1987-89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6626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중동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중동평화협상, 1987-89
skos:prefLabel
  • [56626] 중동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중동평화협상, 1987-89
skos:altLabel
  • 중동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중동평화협상, 1987-89
  • 중동분쟁의평화적해결을위한중동평화협상,1987-89
mofadocu:index_Num
  • 28706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43.1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9-0066
mofadocu:inFile
  • 3
mofadocu:inFrame
  • 0001-0271
mofadocu:openYear
  • 2020
bibo:abstract
  • 1. 미 국무부는 1988.12.14. PLO(팔레스타인 해방기구)와의 실질문제에 관한 대화를 갖기로 결정 했다고 발표함.
    • Fuller 영국 외무부 중동과장은 미국의 대PLO 대화가 시작됨으로써 중동 정세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 들었다고 평가함.
    
    2. 주미국대사관이 1989.1월 보고한 미국의 중동 외교정책 전망의 요지는 아래와 같음.
    • 미국은 중동에서 돌발사태가 발생하지 않는 한 중동정세를 관망하면서 기회를 보는 정책을 펴나갈 것으로 예상됨.
    • 미국은 과거보다는 중립적이고 현실적인 외교정책을 펼칠 것으로 전망됨.
    • 부시 미국 행정부가 초당외교를 표방하고 있음에 비추어 대의회 설득에 노력을 경주할 것으로 보임.
    • 소련의 대중동정책 변화에 따라 미국・소련 간 협력증대 가능성이 높아짐.
    
    3. 중동 3국 정상(이집트 대통령, 이스라엘 수상, 요르단 국왕)이 1989.4월 각각 미국을 방문,미국 대통령과 회담함.
    • 중동 3국 정상의 워싱턴 방문 일정
    - 이집트 대통령(1989.4.1.~4.), 이스라엘 수상(1989.4.5.~7.), 요르단 국왕(1989.4.19.~20.)
    • 각 정상의 평화안
    - 부시 미국 대통령: 유엔 결의안에 의거 당사자 간 직접협상
    -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 이스라엘・PLO 직접협상 및 유엔 주관하에 국제평화회의 개최
    - 샤미르 이스라엘 수상: 중동평화 4개항 제안,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창설 반대
    • 평가
    - 상기 미국・중동 정상 간 접촉 시 획기적인 중동평화안이 제시되지 않아 당장의 성과를 기대 하기 곤란하나, 이스라엘・PLO 간접접촉의 길을 열어 놓은 것으로 평가
    
    4. 이스라엘 Likud・노동당 연립내각은 1989.5.14. 웨스트뱅크와 가자지구 최종지위를 협상할 동 지역의 팔레스타인 협상대표 선거안을 승인함.
    • 이스라엘의 라이벌 정당인 Likud와 노동당이 평화안에 대하여 처음으로 합의를 보았다는 데 의미가 있는 것으로 평가됨.
    
    5. 이집트는 1989.9.15. 10개항의 중동평화안을 제의하고,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이 Rabin 이스라엘 국방장관(9.18.) 및 Arafat PLO 의장(9.19.)과 각각 회담함.
mofa:relatedPerson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7"^^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