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277]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의회 대표회의 한국 옵서버자격 참석문제, 1983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6277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의회 대표회의 한국 옵서버자격 참석문제, 1983
skos:prefLabel
  • [56277]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의회 대표회의 한국 옵서버자격 참석문제, 1983
skos:altLabel
  •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의회 대표회의 한국 옵서버자격 참석문제, 1983
  • nato(북대서양조약기구)의회대표회의한국옵서버자격참석문제,1983
mofadocu:index_Num
  • 2831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3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9-0037
mofadocu:inFile
  • 3
mofadocu:inFrame
  • 0001-0092
mofadocu:openYear
  • 2020
bibo:abstract
  • 1983.11월 주벨기에대사는 NATO(북대서양조약기구)회원국 의회대표회의(North Atlantic Assembly)에 대한 한국의 옵서버 참가 가능성을 아래 요지로 보고함.
    
    1. North Atlantic Assembly 개요
    • NATO 16개 회원국의 의회대표위원 184명으로 구성되며, 각국 인구비례에 의해 인원이 배정됨.
    • 연 2회 봄・가을에 총회를 개회하고, 상임위원회와 5개 분과위원회(경제, 군사, 정치, 교육문화, 과학기술)로 구성됨.
    • 사무국은 브뤼셀에 소재함.
    
    2. 한국의 옵서버 참가 가능성
    • 일본은 1980년, 호주는 1982년부터 옵서버로 의원대표단을 파견함.
    - 토의는 참여하나 투표권은 없음.
    • 사무국 측은 현재 일본 및 호주의 옵서버자격에 대해 불만을 가진 의원세력이 있을 뿐 아니라, 뉴질랜드의 옵서버자격이 없는 상황에서 한국의 옵서버 참석은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함.
    - 옵서버자격 허용여부는 상임위원회에서 결정하며, 동 위원회는 의장, 부의장, 각국 대표단장, 재무관으로 구성됨.
    - 사전에 상임위 의장(영국), 부의장3명(캐나다, 네덜란드, 포르투갈) 및 각 대표단장을 접촉하여 타진한 후에 그 결과를 보아 추진할 것을 건의함.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3"^^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