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274] 한국공군 차세대 전투기 사업 : KFP(Korean Fighter Program), 1989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627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한국공군 차세대 전투기 사업 : KFP(Korean Fighter Program), 1989
skos:prefLabel
  • [56274] 한국공군 차세대 전투기 사업 : KFP(Korean Fighter Program), 1989
skos:altLabel
  • 한국공군 차세대 전투기 사업 : KFP(Korean Fighter Program), 1989
  • 한국공군차세대전투기사업:kfp(koreanfighterprogram),1989
mofadocu:index_Num
  • 28306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2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9-0036
mofadocu:inFile
  • 11
mofadocu:inFrame
  • 0001-0049
mofadocu:openYear
  • 2020
bibo:abstract
  • 한국공군 차세대전투기 사업(KFP: Korean Fighter Program) 관련내용임. 
    
    1. 일본 자위대 FSX 기종 미국・일본 공동생산 문제
    • 추진 경위
    - 미국・일본 간 군사기술협력에 따른 FSX 계획에 의거, 미국 F-16에 일본의 신기술을 가미한 공동개발의 단계로 발전될 전망
    - 1987.8월 양국 정부 간 합의
    - 1989.1월 양국 주계약자 간 계약 체결
    • FSX 계획에 대한 미 의회 및 행정부 내 반대 제기
    - 미국의 기술이전이 전투기뿐 아니라 민간항공분야에까지 미쳐 미국의 항공기 산업을 위협할 가능성 우려
    • 전망
    - 이전대상 기술수준의 수정을 통한 타협 가능성
    
    2. 한・미국 전투기 공동생산(KFP 관련) 결의안
    • 상원안 
    - Heinz 상원의원은 한・미국 간 전투기 공동생산 계획 관련, 상원 결의안을 1989.7.17. 발의
    - Heinz 의원은 동 결의안을 토대로 국무부 수권법안에 대한 수정안을 7.19. 본회의에서 발의
    - 동 수정안은 GAO(회계감사원)에 의한 검토보고서가 의회에 제출될 때까지 한국 측과 MOU를 체결하지 않을 것을 행정부에 권고
    - Heinz 수정안은 만장일치로 통과
    • 하원안
    - 상원안과는 달리 권고조항이 불포함되었으며, 상・하원 양원 법안조정위원회 심의과정에서 Heinz 수정안 권고조항이 삭제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9"^^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