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958] 대소련 외교관 접촉, 1989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5958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대소련 외교관 접촉, 1989
skos:prefLabel
  • [55958] 대소련 외교관 접촉, 1989
skos:altLabel
  • 대소련 외교관 접촉, 1989
  • 대소련외교관접촉,1989
mofadocu:index_Num
  • 27927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2.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9-0011
mofadocu:inFile
  • 6
mofadocu:inFrame
  • 0001-0129
mofadocu:openYear
  • 2020
bibo:abstract
  • 재외공관의 1989년 중 소련 외교관 접촉 동향임.
    
    1. 주카메룬대사, N. Igor 소련대사관 서기관 접촉보고(1.4.)
    • 현 단계에서 소련의 한국에 대한 관심은 순수히 경제적이며 정치적인 면에서의 급격한 변화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임.
    
    2. 주핀란드대사, Rapota 소련대사관 서기관 접촉보고(1.13.)
    • 셰바르드나제 소련 외상의 최근 북한 방문 시 소련 측이 대한국과의 경제관계 설정에 대한 동기와 입장을 북한 지도자에게 설명함.
    
    3. 주일본대사, A. Kravtsevich 소련대사관 경제부 서기관 오찬 결과보고(2.3.)
    • 소련 경제전문가들이 남북한 경제력 격차(남한이 최소 4~5배 정도)를 판단하여, 금후 한국과의 경제협력에 큰 관심을 갖고 있음.
    
    4. 주유엔대사, Belyy 소련대표부 참사관 오찬 결과보고(3.15.)
    • 1989.2월 중국・소련 외무장관 회담에서 양국의 대한국 관계를 현 단계에서는 비공식 관계로 국한하도록 상호이해가 이루어짐.
    
    5. 주인도네시아대사, Basov 소련대사관 서기관 접촉 결과보고(4.1.)
    • 한・소련 간 무역사무소 설치는 양국간의 관계증진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이며, 관계개선에 기여할 것임.
    
    6. 주프랑스대사, Baikov 소련대사관 서기관 접촉 결과보고(5.24.)
    • 한국인에 대한 사증발급은 여타 미수교국 국민과 마찬가지로 본부의 허가가 있어야만 가능한 형편임.
    
    7. 주태국대사, Frolov 소련대사대리 접촉 결과보고(8.22.)
    • 한・소련 간의 관계개선은 남북대화의 진전에 영향을 받는데 현재 남북대화가 정체되어 있음.
    
    8. 주방글라데시대사, Smirov 주방글라데시 소련대사 언급내용 보고(10.9.)
    • 한국대사관 및 한국 상사대표와 필요 시 접촉하고, 양측에 이익이 된다고 생각되는 일은 적극 추진하라는 소련 정부의 훈령을 받음.
    
    9. 주핀란드대사, Rapota 소련대사관 서기관 오찬결과 보고(11.2.)
    • 소련도 한국과 수교하기를 바라나 북한과의 긴밀한 관계 때문에 그들을 자극하지 않고 수교하려는 것인데 북한을 어떻게 만족시킬 수 있을지는 미지수임.
    
    10. 주카메룬대사, Fedorov 주카메룬 소련대사 접촉결과 보고(12.22.)
    • 한・소련 양국관계 개선을 위해 긴 과정을 걷기 시작한 양국은 영사처 설치 합의로 관계개선의 새로운 한 단계를 넘었음.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9"^^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