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413] 인도의 통상정책, 1986-88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541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인도의 통상정책, 1986-88
skos:prefLabel
  • [55413] 인도의 통상정책, 1986-88
skos:altLabel
  • 인도의 통상정책, 1986-88
  • 인도의통상정책,1986-88
mofadocu:index_Num
  • 27381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65.0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8-0081
mofadocu:inFile
  • 09
mofadocu:inFrame
  • 0001-0079
mofadocu:openYear
  • 2019
bibo:abstract
  • 1. 인도 정부의 1986.1~2월 석탄, 식량, 비료 및 석유류 가격 인상 내역임.
    • ‌석탄: 14.1%~14.8%
    • ‌식량: 쌀 5.7%, 밀가루 10.5%
    • ‌비료: 7.5%~9.7%
    • ‌석유류: 3.2%~12.2% 
    
    2. 인도 간디 수상은 1987.2.24. 아래 요지의 1986/87 회계연도 경제정세 보고서를 의회에 제출함.
    • ‌인도 경제는 농업 및 공업 생산, 투자 활동, 정부 세입 등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호조를 보이는 반면 물가 상승세가 우려됨.
    - ‌정부 지출 확대에 따라 재정 적자폭 확대
    - ‌공기업 경영 실적 부진 등으로 경제 개발 계획 수행에 소요되는 투자 재원 조달의 어려움 심화
    • ‌무역 적자폭이 크게 축소되었으나 IMF(국제통화기금) 차관 자금 상환 및 IDA(국제개발청) 지원 
    규모의 축소로 국제 수지는 여전히 어려운 사정임.
    
    3. 외무부 통상국이 1987.11월 작성한 인도 경제·무역 동향 요지는 아래와 같음.
    • ‌간디 정부는 점진적인 개방화·자유화 정책을 견지할 것으로 전망됨. 
    • ‌대외 무역 동향
    - ‌경제 규모에 비하여 대외무역 의존도가 극히 낮음.
    - ‌개방화 정책에 따라 대외무역의 비중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나 급격한 팽창은 기대하기 어려움.
    • ‌한·인도 교역
    - ‌인도의 시장 규모, 한국의 진출 가능 분야 확대 전망에 비추어 한국의 대인도 수출은 계속 확대되고 
    무역 불균형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됨.
    • ‌대인도 교역 증진 대책
    - ‌단기간 내 무역 역조 시정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적극적인 대인도 수입 품목 개발 노력
    - ‌기술 제휴, 합작 등을 통한 인도 측 불만 상쇄
    - ‌장기적 진출 기반 구축
    
    4. ‌주인도대사는 인도 정부가 1988.4.1.~91.3.31.간 시행 예정인 수출입 정책을 발표하였음을 보고하고 동 정책이 한국의 대인도 수출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함.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6"^^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