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003] 미국의 아시아 국가와의 FTA(자유무역협정) 가능성 검토 동향, 1987-88. 전2권 1987-88.8월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500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미국의 아시아 국가와의 FTA(자유무역협정) 가능성 검토 동향, 1987-88. 전2권
skos:prefLabel
  • [55003] 미국의 아시아 국가와의 FTA(자유무역협정) 가능성 검토 동향, 1987-88. 전2권 1987-88.8월
skos:altLabel
  • 미국의 아시아 국가와의 FTA(자유무역협정) 가능성 검토 동향, 1987-88. 전2권
  • 미국의아시아국가와의fta(자유무역협정)가능성검토동향,1987-88.전2권
mofadocu:index_Num
  • 26942
mofadocu:volumeNum
  • V.1
mofadocu:volumeName
  • 1987-88.8월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41.8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8-0053
mofadocu:inFile
  • 06
mofadocu:inFrame
  • 0001-0266
mofadocu:openYear
  • 2019
bibo:abstract
  • 외무부 통상국이 1988.6월 작성한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검토 문서 요지임.
    
    1. 배경
    • ‌Smith USTR(미무역대표부) 부대표는 1987.9월 KDI-IIT 공동주최 세미나에서 동 협정 검토 필요성 제기
    • ‌Yeutter USTR 대표는 1988.2월 한·미협회 연설에서 한국 등 NICs(신흥공업국) 국가와의 무역자유화 Club 구성 구상 표명
    • ‌Baker 미국 재무장관은 1988.2월 한국 등 아태지역 주요 대미 흑자국과의 FTA 체결 필요성 표명
    
    2. 각국에 대한 미국의 FTA 체결 제의 및 미국 측 의도 
    • ‌협정 기체결국
    - ‌1985.9월 이스라엘과의 협정 발효, 1987.11월 멕시코와의 협정 체결, 1988.1월 캐나다와의 협정 체결
    • ‌일본
    - ‌맨스필드 주일본 미국대사는 1987.11월 미·일 FTA 체결 필요성을 표명했으나 일본 측은 대상에서 농산물 제외 시 검토 가능하다는 반응으로 아태지역 전체를 포괄하는 광역 무역권 형성에 더 큰 관심을 표시
    • ‌기타
    - ‌미국은 호주, 대만(구 중화민국), ASEAN(동남아국가연합) 등에도 유사한 제안
    • ‌미국 측 의도 분석
    - ‌(우루과이라운드와의 관계) 각국에 대한 FTA 제의는 GATT(관세및무역에관한일반협정) 다자주의 협상의 지연 내지 비효율성에 대한 미국의 좌절의 표시, EC(구주공동체)의 지역주의에 대한 대응, 우루과이라운드 촉진을 위한 압력 수단
    - ‌(미국 측 입장에 따른 한·미 FTA의 효용성) 대한국 시장 접근 문제의 일괄 타결, 아태지역에 있어서의 미·일 경쟁관계 관련 우위 확보
    
    3. FTA 체결의 득실 검토
    • ‌경제적 측면에서의 긍정적 효과
    - ‌한·미 양국 경제는 큰 상호 보완성에 따라 이론상 FTA는 양국에 경제적 이득 초래 가능
    - ‌대·소국 간 FTA의 경우 큰 시장에 대한 안정적 접근에 따른 규모의 경제 실현 등 통상적으로 소국 측에 더 큰 이익이 발생
    • ‌경제적 측면에서의 부정적 효과
    - ‌비교열위산업(특히 농업 부문)의 사양화 가속 및 이에 따른 실업 발생 등 산업 조정 문제
    - ‌과도한 특화 내지 분극화에 의해 한국이 미국의 소비 제품 공장화 우려
    • ‌안보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부정적 효과
    - ‌정치적 자주성의 희생이라는 국내 여론상의 반발 등
    
    4. 전망
    • ‌FTA 문제 급진전의 가능성
    - ‌아시아 지역 내 경쟁국 중 일국이 대미 FTA를 추진할 경우 경쟁 관계에 있는 여타국은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상실을 우려하여 FTA 참여를 강요받게 될 가능성 
    • ‌FTA 성립의 저해 요인
    - ‌경제의 보완성 내지 차이가 큰 미국-NICs(또는 일본) 간 FTA는 미국·캐나다 FTA보다 광범위한 산업조정을 수반할 것임에 따라 특별 이익집단의 반대가 급격한 FTA 추진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7"^^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