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130] 서부아프리카지역 국가 정세, 1987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4130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서부아프리카지역 국가 정세, 1987
skos:prefLabel
  • [54130] 서부아프리카지역 국가 정세, 1987
skos:altLabel
  • 서부아프리카지역 국가 정세, 1987
  • 서부아프리카지역국가정세,1987
mofadocu:index_Num
  • 26025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7-0097
mofadocu:inFile
  • 07
mofadocu:inFrame
  • 0001-0164
mofadocu:openYear
  • 2018
bibo:abstract
  • 가봉, 기니, 기니비사우, 말리, 베냉, 카메룬, 카보베르데, 코트디부아르, 콩고 및 토고의 1986∼87년 중 주요 대내·외 정세 동향임.
    
    1. 가봉
    • 봉고 대통령이 1986.11.9. 세 번째로 대통령에 당선되어 1987.1월 개각을 시행함.
    • 봉고 대통령은 2월 소련 및 중국(구 중공), 7월에는 미국을 방문하였으며, 가봉은 경제난에 따라 1987.1월 파리클럽과 외채 상환 일정 재조정에 합의함.
    
    2. 기니
    • 1985.7월 쿠데타 미수 사건과 관련하여 1987.5월 동 주역들에 대한 사형이 선고됨.
    
    3. 기니비사우
    • 부통령 주도의 쿠데타 음모가 1987.5월 적발됨.
    • 비에이라 대통령은 5월 화폐개혁을 포함한 경제, 사회 개혁 조치를 발표함.
    
    4. 말리
    • Traore 대통령은 1987.2월 일부 개각을 시행함.
    • 말리 정부는 1988~90년 3개년 경제구조 개혁을 IMF(국제통화기금) 지원하에 추진하기로 함.
    
    5. 베냉
    • 아프리카 시사 주간지는 베냉이 경제난에 따라 좌경 사상에서 탈피하여 개방적, 친서방 경향의 대외 정책을 추구하게 되었음을 보도함.
    
    6. 카메룬
    • Paul Biya 대통령은 국내적으로 민주화를 추진하는 한편 대외적으로는 우호 및 협력 증진, 내정 불간섭 및 엄정 비동맹 중립주의 외교에 기초하여 아프리카 국가들의 단합을 추구함.
    • 카메룬은 1986.7월 이후 제6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을 착수하여 농촌 개발, 에너지 개발 등을 
    추진함.
    
    7. 카보베르데
    • Pereira 대통령은 1987.2월에 모로코, 4월에 브라질 및 아르헨티나를 각각 방문함.
    • Chissano 모잠비크 대통령이 5월 카보베르데를 방문하여 포르투갈어 사용 아프리카 국가 간의 연대 강화를 추진함. 
    
    8. 코트디부아르
    • 우푸에부와니 대통령 및 외상은 리비아의 차드 침공을 강력히 비난함.
    • 정부는 1986.2월 1969년 이후 외교관계가 동결된 소련과 복교하는 한편 1986.12월 상주대사가 부임하였으며, 1987.4월에는 니카라과와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함.
    • 7월에는 프랑스 외무장관, 8월에는 캐나다 외무장관, 그리고 10월에는 일본 외무차관이 각각 
    방문함.
    
     9. 콩고 
    • Nguesso 대통령은 OAU(아프리카단결기구) 의장 자격으로 1987.2월 프랑스 등 유럽 4개국을 
    방문함. 
    • 북한 김용섭 외교부부장이 3월에 방문하였으며, 4월에는 루마니아 대통령, 미 국무부 아프리카담당 차관보가 콩고를 방문함.
    • Nguesso 대통령은 9월 BBC와의 인터뷰에서 7월 콩고 쿠데타 발생설을 부인함.
    
     10. 토고
    • 에야데마 대통령은 1987.1월 집권 20주년 기념식을 개최하고, 3월 개각을 시행함.
    • 토고 정부는 1986.9월 쿠데타 기도 배후로 지목된 가나에 대하여 국경 폐쇄 조치를 취해 온 바, 1987.2월 동 국경을 재개방함.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7"^^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