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13] 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특별총회, 제3차. Paris, 1973.10.23-26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41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특별총회, 제3차. Paris, 1973.10.23-26
skos:prefLabel
  • [5413] 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특별총회, 제3차. Paris, 1973.10.23-26
skos:altLabel
  • 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특별총회, 제3차. Paris, 1973.10.23-26
  • 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특별총회,제3차.paris,1973.10.23-26
mofadocu:index_Num
  • 6219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33.312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I-0044
mofadocu:inFile
  • 8
mofadocu:inFrame
  • 0001-0115
mofadocu:openYear
  • 2004
bibo:abstract
  • 정부는 1973.10.23.∼26. 파리 개최 제3차 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특별 총회에 정일영 주프랑스대사를 수석대표로 하는 정부대표단을 파견함.
     
    1. 파견 목적
    • 동 특별총회는 물가 상승 및 달러화 하락에 따른 동 기구의 재정 관리 문제 검토를 위해 집행이사회의 결정에 의해 개최되는바, 동 기구의 예산 재편성 및 사업계획 조정에 한국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반영함.
    • 중국(구 중공) 등 공산권의 참여 및 정치적 성격의 토의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한국의 발전상 소개와 함께 신외교정책에 대한 국제적인 인식을 제고함.
    
    2. 정부 훈령
    • 1973∼74 회계연도 예산 결손액 총액이 12,652,100달러로 예상됨에 따라 집행위원회의 각 회원국 분담 제안에 원칙적으로 동의하며 한국의 재정적 부담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함.
    • 정치적인 사안을 의제로 추가하는 제안이 상정될 경우 동 특별총회의 개최 목적을 감안하여 여사한 제안에 반대함.
    • 향후 북한의 동 기구 가입이 예상됨에 따라 관련 동향을 파악하는 한편 중국 등 공산 국가에 의한 한국의 대표권 문제 제기 시 북한의 국제기구 가입에 반대하지 않는다는 정부의 신외교정책을 천명하여 대표권 문제 제기의 부당함을 지적하고 반박함.
    
    3. 회의 결과
    • 결손 예상액 중 9,000,000달러는 각 회원국이 분담하며, 여타 부족 예상액 3,652,100달러는 1974년 예산 운용 사정에 따른 사무총장의 지불 통고에 의해 각 회원국이 분담함.
    • 신임장위원회에서 소련 등이 한국, 캄보디아(구 크메르), 베트남(구 월남) 및 칠레의 대표권에 이의를 제기한바, 미국, 인도네시아, 필리핀은 동 신임장을 인정한다는 입장을 표명하였으며 수석대표는 반박 발언권 행사를 통해 공산권의 정치적 문제 제기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정부의 신외교정책을 재차 천명함.
    • 알제리 제안에 따라 한국 등 4개국의 대표권에 대한 표결이 시행된바, 한국에 대해서는 찬성 56, 반대 20, 기권 17로 대표권 인정이 가결됨.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Person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3"^^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