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119] 부르키나파소 정세, 1987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4119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부르키나파소 정세, 1987
skos:prefLabel
  • [54119] 부르키나파소 정세, 1987
skos:altLabel
  • 부르키나파소 정세, 1987
  • 부르키나파소정세,1987
mofadocu:index_Num
  • 2601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7-0096
mofadocu:inFile
  • 12
mofadocu:inFrame
  • 0001-0137
mofadocu:openYear
  • 2018
bibo:abstract
  • 부르키나파소의 1987년 중 주요 대내·외 정세 동향임.
    
    1. 국내 정세
    • 1983.8월 혁명으로 집권한 Thomas Sankara 대통령이 1987.10.15. 동 대통령의 신임을 받아온 제2인자인 Blaise Compaore 대위(법무장관) 주도의 쿠데타로 체포되어 피살되었으며, 공항과 국경이 폐쇄됨.
    • Compaore는 쿠데타 직후 국영방송을 통하여 상카라 전 대통령을 혁명의 배신자라고 비난하는 한편 국가 재정의 파탄 위기 극복을 위한 정변의 불가피성을 발표하고, 기존의 최고 혁명통치기관인 국가혁명평의회 및 내각을 해체, 인민전선을 설치함.
    • Compaore는 10.20. 주재 각국 대사를 초치하여 개별적으로 쿠데타에 대한 이해와 협조를 당부하는 한편 자신의 친서를 휴대한 대표단을 가나, 코트디부아르 등 국가에 파견하여 정변 발생 배경과 후속 조치를 설명하고 이해를 구함.
    • 쿠데타 반대 세력에 의한 저항이 10.27. 발생하였으나 제압되었으며, 신정권은 10.31. 각료 명단을 
    발표하고 Compaore를 대통령으로 하는 새로운 정부를 구성함.
    
    2. 대외 관계
    • 가나 Rawlings 국가원수는 1987.10.25. Sankara 전 대통령 추도식을 개최하여 동지적 관계에 
    있었던 동 전 대통령의 사망을 애도함.
    • 가나, 니제르 등 국가원수들은 친서를 휴대한 특사를 부르키나파소에 파견하여 신정부와의 관계 설정을 모색함.
    • Compaore 신임 대통령은 12월 토고 등 인근 국가들을 순방하고, 우호관계 증진을 도모함.
mofa:relatedPerson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7"^^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