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850] 한·일본간 대륙붕 공동개발, 1986-87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3850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한·일본간 대륙붕 공동개발, 1986-87
skos:prefLabel
  • [53850] 한·일본간 대륙붕 공동개발, 1986-87
skos:altLabel
  • 한·일본간 대륙붕 공동개발, 1986-87
  • 한·일본간대륙붕공동개발,1986-87
mofadocu:index_Num
  • 25735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63.92
mofadocu:inLol
  • 2017-0076
mofadocu:inFile
  • 22
mofadocu:inFrame
  • 0001-0089
mofadocu:openYear
  • 2018
bibo:abstract
  • 한·일 대륙붕 공동개발과 관련한 1986∼87년 중 추진 경과임.
    
    1. ‌한·일 대륙붕 공동개발 사업 개요
    • 1974.1.30. 한·일 대륙붕 공동개발 협정서 서명 및 1978.6.22. 비준서 교환으로 발효
    - ‌공동개발 구역을 9개 소구역으로 분리 설정
    • 1979.3.16. 공동개발 구역 소구역별 조광권자 및 운영권자 지정
    • 매년 대륙붕 회의 개최를 통해 관련 사항 협의
    
    2. ‌조광권자와 운영권자 지정
    • 한국 측 조광권자인 TEXACO사가 1985.5.17.자로 2~6 소구역에서 철수함에 따라 한국석유개발
    공사로 대체
    • 한국은 1986.3.20. 제5 소구역에 대한 한국 측 조광권자로 한국석유개발공사와 경인에너지 지정
    • 제8 소구역 일본 측 조광권자인 제국석유와 일본광업이 1986.5.27. 조광권 포기
    • 제1, 7, 8, 9 소구역 한국 측 조광권자인 코암회사(해밀턴 등 5개사 연합)가 1986.6.21. 제8 소구역에 대한 조광권 포기
    
    3. ‌일본의 대륙붕 조사계획
    • 일본 정부는 1986.5.19. 주일대사관에 일본 주변 대륙붕에 대한 기초조사 실시를 통보하고, 조사 
    구역에 한·일 대륙붕 공동개발 구역 일부가 포함되어 있음에 따라 한국 정부에 참고로 사전에 
    통보하는 것임을 설명함.
    • 한국 정부는 동 조사가 대륙붕 협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후 이의 없음을 회보함.
    
    4. ‌공동개발 구역 탐사 결과
    • 1985년 제7 및 제8 소구역에 대한 시추 시 유징을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1987.5~7월 중 제5 소구역에서 시추를 진행하였으나 유징 발견에 실패함.
    
    5. ‌한국 대륙붕 탐사
    • 정부는 한국 소유 대륙붕 6개 광구 중 제3, 4, 5 및 제6-1광구에 대한 탐사를 별도로 추진함.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6"^^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