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694] 모로코 정세, 1984-86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269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모로코 정세, 1984-86
skos:prefLabel
  • [52694] 모로코 정세, 1984-86
skos:altLabel
  • 모로코 정세, 1984-86
  • 모로코정세,1984-86
mofadocu:index_Num
  • 24477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6-0096
mofadocu:inFile
  • 05
mofadocu:inFrame
  • 0001-0091
mofadocu:openYear
  • 2017
bibo:abstract
  • 주모로코대사관이 1984~86년 주재국 정세에 대해 외무부에 보고한 내용임.
    
    1. 1984.9.14. 실시된 국회의원 총선거 투표율은 67%로 과거 선거 투표율에 비해 저조함.
    • 주모로코대사가 1981년 특사 또는 의원사절단의 일원으로 방한하였거나 1983.10월 IPU 총회 참석차 방한한 의원 중 금번 선거에서 재선된 의원들(7명)에 대한 한·모로코 의원친선협회장 명의 축전을 건의함에 따라 동 축전들이 1984.9월 주모로코대사관을 통해 동 의원들에게 전달됨.
    
    2. ‌모로코 Hassan 왕은 1985.11.27.~29. 프랑스를 공식 방문하여 Mitterrand 대통령과 2차에 걸친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한 의견을 교환함.
    • Hassan 왕의 프랑스 방문은 그가 아프리카 온건세력을 대표하는 지도자로 알려져 있고, 또한 아랍정상회의, 이슬람정상회의 및 예루살렘위원회의 의장직을 맡고 있으므로 국제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게 됨.
    
    3. ‌모로코는 1986.1.6.~10. Fes에서 제16차 이슬람 외상회의를 개최하여 역내 문제 해결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함.
    • 모로코는 전통 회교국으로서 동 기구를 통한 이슬람 제국의 단결 및 분쟁 해결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 이슬람 제국의 지도국으로 크게 부상함.
    
    4. ‌모로코는 1986.1.28. 리비아와 알제리 간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이 급속히 접근하면서 모로코를 제외한 마그레브 4국 정상회담설이 대두되자 보다 적극적인 대알제리 화해 노력을 기울여 옴. 
    • 1986.6.27. Hassan 왕은 국회에서 행한 국정 담화문을 통해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간 ‘마그레브지역협의 의회’ 창설을 제의하고 알제리의 반응을 탐색함.
    
    5. ‌De Cuellar 유엔 사무총장이 1986.7.15.~16. 모로코를 방문하여 Hassan 왕과 면담하고 Filali 외상 및 각 정당 대표들과 차례로 만나 서부 사하라 문제를 비롯한 중동 정세 등에 관하여 의견을 교환함.
    
    6. Hassan 국왕은 1986.8.29. TV 연설을 통해 모로코·리비아 연합조약의 폐기를 선언함.
    • 동 국왕은 최근 시리아 대통령의 리비아 방문 후 발표된 양국 간 공동성명서 내용이 모로코·리비아 간 국가연합의 존속을 불가능하게 했다는 요지의 서한을 Kadhafi 리비아 국가원수에게 이미 보냈다고 8.28. 밝힘. 
    • 이에 대해 Kadhafi 국가원수는 9.1. 리비아 혁명 기념일 연설에서 모로코의 일방적인 협정 폐기는 불법적, 비우호적이며, 모든 리비아 및 모로코 인민의 기대에 위배되는 행위라고 하고 리비아는 동 협정의 효력을 계속 인정할 것이라고 밝힘.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4"^^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