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446] 체르노빌 원전사고에 따른 세계곡물 수급동향, 1986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2446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체르노빌 원전사고에 따른 세계곡물 수급동향, 1986
skos:prefLabel
  • [52446] 체르노빌 원전사고에 따른 세계곡물 수급동향, 1986
skos:altLabel
  • 체르노빌 원전사고에 따른 세계곡물 수급동향, 1986
  • 체르노빌원전사고에따른세계곡물수급동향,1986
mofadocu:index_Num
  • 24223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63.89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6-0077
mofadocu:inFile
  • 14
mofadocu:inFrame
  • 0001-0147
mofadocu:openYear
  • 2017
bibo:abstract
  • 외무부는 1986.5. 체르노빌 원전 사고와 세계 곡물 수급 동향에 관한 주요 공관의 보고를 종합·분석하여 이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한바, 동 보고서 내용은 다음과 같음.
    
    1. 소련 곡물 생산 감소 예측
    • 원전 사고로 인한 피해 규모를 10~20백만 톤으로 예측
    - ‌원전 사고 발생 전 1986년도 소련의 곡물 생산 약 180백만 톤, 수입 약 30백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
    
    2. 세계 곡물 수급에 미치는 영향
    • 원전 사고로 인한 실질적 수급상의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는 것이 지배적 의견
    • 세계 곡물 공급은 미국의 비축량 50백만 톤, EC 지역 비축량 15백만 톤을 포함한 120백만 톤 이상의 비축 물량과 신작 출하로 공급 과잉 현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 
    
    3. 각국의 대응책
    • 대부분의 국가가 곡물 수급 변화에 대한 별도의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짐.
    - ‌단, EC 국가 중심으로 오염 가능 농산물 수입 금지 및 오염도 허용 한계 문제는 크게 부각
    
    4. 결론
    • 원전 사고로 소련의 곡물 수입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세계 곡물 수급에는 파급 효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
mofa:relatedEvent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6"^^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