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057] IFAD(국제농업개발기금) 기금조성을 위한 한국의 카테고리 격상문제, 1984-87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2057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IFAD(국제농업개발기금) 기금조성을 위한 한국의 카테고리 격상문제, 1984-87
skos:prefLabel
  • [52057] IFAD(국제농업개발기금) 기금조성을 위한 한국의 카테고리 격상문제, 1984-87
skos:altLabel
  • IFAD(국제농업개발기금) 기금조성을 위한 한국의 카테고리 격상문제, 1984-87
  • ifad(국제농업개발기금)기금조성을위한한국의카테고리격상문제,1984-87
mofadocu:index_Num
  • 2378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33.426
mofadocu:inLol
  • 2016-0050
mofadocu:inFile
  • 14
mofadocu:inFrame
  • 0001-0074
mofadocu:openYear
  • 2017
bibo:abstract
  • 1. ‌한국은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창립 이래 동 활동에 참가하여 1978~80년간 20만 달러, 1981~83년간(제1차 기금조성) 29만 달러의 기여금을 제공하였으며, 1984~87년간(제2차 기금조성) 기여금으로 30만 달러를 서약하고 매년 10만 달러를 제공함. 
    
    2. ‌Jazairy IFAD 총재는 1986.9월 방한 시 IFAD 내에서의 한국의 카테고리 격상 문제(카테고리 3에서 2로 격상)를 제기하고 한국이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해 줄 것을 요청함.
    • ‌IFAD 기금의 부족에 따라 한국, 인도, 브라질, 멕시코 등 선발개도국을 카테고리 3에서 2로 격상하여 IFAD 전체 기금의 신용 창출 기능을 확대함.
    
    3. ‌1986.9.30. 개최된 국내 관계 부처 회의에서는 다음과 같이 한국이 카테고리 격상 시 얻을 수 있는 실익에 대해 검토함. 
    • ‌기여금 증액이 전제되는 카테고리 격상을 위해서는 뚜렷한 실익이 수반되어야 함.
    • ‌현재 한국이 신청 중인 농협신용 차관은 도입이 된다면 다소 도움이 되겠으나 규모나 시기 면에서 긴요한 것은 아님.
    • ‌따라서 IFAD로부터의 차관 도입 외에 프로젝트 관련 용역수주 등 여타 실익 창출이 불가능하다면 한국의 카테고리 격상은 별 의미가 없음. 
    
    4. ‌Jazairy 총재는 1986.12월 제10차 IFAD 총회 시 IFAD 재원 보충을 위한 카테고리 조정 등 구조조정을 위한 정부 간 위원회를 구성함.
    • ‌동 총재는 1987.1.9. 주, 이탈리아대사 앞 서한에서 한국의 IFAD에 대한 기여 증대를 재요청함.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4"^^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