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975] 나미비아의 독립을 위한 국제회의. Vienna, 1986.7.7-11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1975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나미비아의 독립을 위한 국제회의. Vienna, 1986.7.7-11
skos:prefLabel
  • [51975] 나미비아의 독립을 위한 국제회의. Vienna, 1986.7.7-11
skos:altLabel
  • 나미비아의 독립을 위한 국제회의. Vienna, 1986.7.7-11
  • 나미비아의독립을위한국제회의.vienna,1986.7.7-11
mofadocu:index_Num
  • 23700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31.65
mofadocu:inLol
  • 2016-0045
mofadocu:inFile
  • 08
mofadocu:inFrame
  • 0001-0229
mofadocu:openYear
  • 2017
bibo:abstract
  • 1. ‌나미비아의 조속한 독립을 위한 국제회의(International Conference for the Immediate Independence of Namibia)가 1986.7.7.~11.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됨.
    • ‌개최 근거: 1985.12.13. 제40차 유엔 총회 결의
    • ‌목적
    - ‌SWAPO 주도하에 나미비아 독립을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 지지 기반 강화 및 나미비아 독립을 위한 국제적인 행동계획 수립 등
    • ‌참석국
    - ‌남북한 포함 114개국 참석,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및 서독은 옵서버 자격으로 참가
    • ‌한국 대표로 이상옥 외무부차관(수석대표), 이시용 주오스트리아대사(교체수석대표), 외무부 함명철 국제연합과장 등 참석
    • ‌한국 수석대표 연설(7.8.) 요지
    - ‌서남아프리카 인민기구(SWAPO) 지도하의 나미비아인의 독립 적극 지지, 유엔 안보리 결의 435호가 국제적 지지를 받고 있는 유일한 해결 방안, 한국은 유엔의 각종 기금 및 계획을 통해 나미비아인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해 왔고 앞으로도 계속할 것이며 남아공과의 각종 교류에 관한 제한 조치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는 요지의 연설
    • ‌토의 요지
    - ‌De Cuellar 유엔 사무총장, 유엔 총회 의장, 탄자니아 외상 등은 7.7. 개막연설에서 안보리 결의 435호(1978)만이 국제적 지지를 받고 있는 나미비아 독립 방안임을 강조하고 동 결의안의 무조건 이행을 통한 나미비아의 조속한 독립을 촉구하고, 나미비아의 독립 문제를 앙골라 주둔 쿠바군 문제와 연결시키는 소위 Linkage 정책 반대
    - ‌북한(최기철 주오스트리아대사)은 7.8. 연설에서 SWAPO 및 전선국가의 투쟁에 대한 지지 표명
    - ‌소련은 7.8. 연설에서 쿠바군의 앙골라 주둔은 양국 간의 합의에 의한 것으로 앙골라의 주권 문제임을 강조하고 미국의 지원에 의한 남아공의 Linkage 정책 반대
    - ‌7.11. 폐막 회의에서 37개 항목의 행동계획 및 25개 항목의 선언문 채택 
    
    2. ‌본 문건에는 한국 수석대표 연설문(영문), 동 회의 참석 결과 보고서(책자), 동 회의 관련 유엔 문서 및 참고 자료 등도 수록되어 있음.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6"^^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