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63] 북한·레소토 관계, 1986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186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북한·레소토 관계, 1986
skos:prefLabel
  • [51863] 북한·레소토 관계, 1986
skos:altLabel
  • 북한·레소토 관계, 1986
  • 북한·레소토관계,1986
mofadocu:index_Num
  • 23550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5.1
mofadocu:inLol
  • 2016-0036
mofadocu:inFile
  • 21
mofadocu:inFrame
  • 0001-0037
mofadocu:openYear
  • 2017
bibo:abstract
  • 1. ‌1986.1.20. 레소토의 군사 쿠데타로 Jonathan 정부가 축출된 이후 북한·레소토 관계에 관한 주케냐대사관 등 관련 공관의 보고 요지는 다음과 같음.
    • ‌케냐 Nation지는 1986.2.5. 로이터 통신을 인용, 레소토 신정부가 19명의 북한 기술자를 출국시켰으며 남아공에 대한 접근을 강화하고 있다고 보도
    - ‌동 기술자들은 농업 프로젝트 및 체육회관 건립에 종사
    - ‌남아공은 레소토 정부가 3년 전에 상주 허용한 소련, 중국(구 중공), 북한대사관 폐쇄 또는 관계 격하를 레소토 측에 요구 
    • ‌동 Nation지는 2.8. 레소토 신정부는 Jonathan 정권이 북한 지원으로 청년대를 무장시킨 소총 및 다량의 실탄 등을 압류했다고 보도
    - ‌동 무장 청년대는 군부의 강력한 라이벌로 등장했고 Jonathan 수상은 청년대의 무장해제 거부
    • ‌케냐 일간지 스탠더드는 2.10. 레소토 신정부가 상기 북한 기술요원들의 청년대 지도훈련과 관련된 증거를 검토하고 동 요원들을 추방했다고 보도
    • ‌레소토 거주 한국 교민은 8.22. 마세루 방송이 레소토 정부가 동국 주재 북한 외교관 3명에 대해 2주일 내 퇴거할 것을 요구했다고 보도했음을 주케냐대사관에 연락
    • ‌레소토 외무성 대변인은 9.1. 북한이 주레소토대사관을 폐쇄했음(locked and closed)을 발표 
    
    2. ‌본 문건에는 레소토의 북한 요원 추방 등 관련 국내외 언론 기사, 앙골라 등 아프리카 지역에 파견된 북한 군사요원 수에 관한 주파라과이대사관의 보고 등도 수록되어 있음.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6"^^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