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514] 우간다 주재 공관원 및 교민 안전문제, 1985-86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151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우간다 주재 공관원 및 교민 안전문제, 1985-86
skos:prefLabel
  • [51514] 우간다 주재 공관원 및 교민 안전문제, 1985-86
skos:altLabel
  • 우간다 주재 공관원 및 교민 안전문제, 1985-86
  • 우간다주재공관원및교민안전문제,1985-86
mofadocu:index_Num
  • 2316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2.31
mofadocu:inLol
  • 2016-0008
mofadocu:inFile
  • 10
mofadocu:inFrame
  • 0001-0025
mofadocu:openYear
  • 2017
bibo:abstract
  • 1985.7.27. 우간다에서 쿠데타에 의한 군사정부 수립 및 1986.1.25. NRA(국민저항군)에 의한 동 군사정부 전복 등 우간다 내 빈발하는 비상사태와 내전의 장기화 조짐에 따른 주우간다대사관 공관원 및 교민 안전 문제 관련 외무부의 지시 전문, 주우간다대사관 및 주케냐대사관의 보고 전문내용임.
    
    • ‌우간다 주재 공관원 및 교민 안전 문제 관련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1985.7.29. 외무부는 신정부의 성격이 나타날 때까지 신중한 행동을 취하고 공관원 및 교민 안전에 만전을 기할 것을 주우간다대사관에 지시
    - ‌주우간다대사관은 7.31. 미국 및 영국대사관 직원 가족들은 동일 08:00부터 케냐로 철수하기 시작했고 IMF/IBRD 직원들도 동일 전원 철수했음을 보고하면서 현지 실정을 2~3일 관찰하여 필요시 공관원 가족 철수에 대한 지침 하달 건의
    - ‌외무부는 7.31. 현지 판단에 따라 교민 및 공관원 가족의 케냐 철수 조치를 주우간다대사관에 지시
    - ‌주우간다대사관은 7.31. 라면 등 비상식량을 항공편 지원 건의
    - ‌주우간다대사관은 8.3. 철수계획을 보류하고 주케냐대사관과 긴밀히 연락하고 있음을 보고 
    - ‌‌외무부는 1986.1.22. 주재국의 긴급사태에 대응, 현지 판단에 따라 공관 필수요원을 제외한 공관 가족 및 교민의 케냐 긴급대피 등 신변안전을 위한 필요조치를 주우간다대사관에 지시 
    - ‌‌외무부는 1.26. 주우간다대사관과의 모든 통신이 두절되어 있고 외신에 의하면 주케냐 및 주우간다 미국대사관 간의 무선통신만이 가용하다 함을 감안, 케냐 주재 미국대사관을 접촉, 주우간다대사관으로 하여금 상기 신변안전을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연락해 줄 것을 협조 요청토록 주케냐대사관에 지시
    - ‌주케냐대사는 1.26. Trail 미국대사대리 등을 접촉, 협조를 요청했으며 동 대사대리는 협조를 약속하고 현재 우간다 수도 캄팔라에서는 집 밖이 가장 위험하기 때문에 미국인들에게 집 안에 머물러 있을 것을 공지했다고 언급했음을 보고
    - ‌주케냐대사는 1.27. Allinson 영국대사 및 Trail 미국대사대리를 접촉한 결과, 캄팔라는 과거 어느 때보다 치안이 양호하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1.26. 우간다 주재 미국, 영국 대사 및 EC 대표를 면담한 무세베니 대통령은 모든 외국인, 특히 외교관 및 가족의 신변안전을 보장한다고 언급했다고 함을 보고
mofa:relatedOrg
mofa:yearOfData
  • "1985"^^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