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503] 미국·베트남 관계, 1984-86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150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미국·베트남 관계, 1984-86
skos:prefLabel
  • [51503] 미국·베트남 관계, 1984-86
skos:altLabel
  • 미국·베트남 관계, 1984-86
  • 미국·베트남관계,1984-86
mofadocu:index_Num
  • 23152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2.12
mofadocu:inLol
  • 2016-0007
mofadocu:inFile
  • 18
mofadocu:inFrame
  • 0001-0059
mofadocu:openYear
  • 2017
bibo:abstract
  • 1. ‌미국 워싱턴 포스트는 1985.12.4. 미·베트남 간 월남전 실종자(MIA) 확인을 위한 고위회담이 12.16. 하노이에서 개최될 예정이라고 보도함.
    • ‌주미대사관의 문의에 대해 미 국무부는 동 회의가 1986.1월 개최될 예정이라고 확인하면서, 베트남군이 캄보디아로부터 철수하기 전에는 양국 간 관계 개선을 위한 협의에 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함.
    
    2. ‌미·베트남 간 MIA 협상이 1986.1.6.~7.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되어 월남전 기간 중 실종된 미군장병 문제를 협의한바, 결과는 다음과 같음(1986.1.9. 주미대사관 보고 및 1.13. 아미타지 국방부 차관보 회견 내용).
    • ‌미측은 실종자 확인 문제를 베측에 제기, 베측의 협조 약속을 받았으나 베측은 일단 베측 당국에 억류 중인 생존 미국인은 없다는 입장을 밝힘.
    • ‌MIA 문제의 2년 내 해결에 합의 
    • ‌1986.2월 하순 실종자 확인 및 발굴을 위한 실무회담 개최에 합의 
    - ‌미측은 군사 기술진이 참석 예정
    • ‌연락사무소 개설 문제
    - ‌베측이 하노이 및 워싱턴 DC에 상호 기술연락사무소를 개설하는 문제를 제기하였으나 현 시점에서 연락사무소 개설이 필요치 않다는 데에 합의함.
    
    3. ‌이와 관련, 미 국무부 베트남·라오스·캄보디아과 Snyder 부과장은 1986.1.9. 주미대사관에 베트남 측의 대미 관계개선 접근에 대해 미국으로서는 베트남군이 캄보디아로부터 철군하지 않는 한 어떠한 종류의 관계 개선도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언급함. 
    
    4. ‌워싱턴 포스트지는 1986.1.14. 뉴욕 출신 G. Solomon 공화당 의원을 단장으로 하는 9명의 미 의회 조사단이 1월 중 2일간 MIA 협의를 위해 베트남을 방문 예정임을 보도함.
mofa:yearOfData
  • "1984"^^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