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 대사파견 - 태국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00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대사파견 - 태국
skos:prefLabel
  • [500] 대사파견 - 태국
skos:altLabel
  • 대사파견 - 태국
  • 대사파견-태국
mofadocu:index_Num
  • 538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11.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B-0005
mofadocu:inFile
  • 29
mofadocu:inFrame
  • 0001-0080
mofadocu:openYear
  • 1995
bibo:abstract
  • 1. 정부는 1960.7.22. 주태국대사로 내정된 유재흥 대사에 대한 아그레망을 태국 정부에 요청하였으며,
    태국 정부는 1960.8.6. 유재흥 대사의 임명에 동의함. 유재흥 대사는 1960.9.19. 윤보선 대통령의 신
    임장을 Bhumibol Adulyadej 태국 국왕의 접정에게 제정함.
     태국 국왕은 해외 체류 중인바, 국왕의 부재 시는 국왕의 모친이 접정(Regent)으로서 외교사절
    의 신임장을 접수하는 것이 태국의 관례임.
    2. 정부는 스웨덴에 상주 공관을 설치함에 따라 1963.6.27. 유재흥 주태국대사를 주스웨덴대사로 내정
    하고, 이동원 대통령 비서실장을 주태국대사에 내정함. 태국 정부는 1963.8.19. 이동원 대사의 아그
    레망 요청에 동의하였으며, 이동원 대사는 1964.1.30. 박정희 대통령의 신임장을 Bhumibol Adulyadej
    태국 국왕에게 제정함.
     주태국대사관 노신영 참사관이 1963.7.11. 태국 외무성 정무국장 방문 시, 동 국장은 이동원 대
    사의 주캄보디아 겸임 가능성을 문의하면서, 태국은 1961년 캄보디아와 외교관계를 단절한 이래
    태국에 아그레망을 신청하는 모든 외국 사절에 대하여 캄보디아 겸임을 원하지 않고 있으며, 이
    러한 정책은 태국-캄보디아간의 외교관계가 재수립될 때까지 계속될 것이라는 입장을 표명함.
    이에 대해 노신영 참사관은 한국은 현재 캄보디아에 대사관을 설치하지 않고 있으며 총영사관
    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동원 대사의 겸임 문제는 있을 수 없다고 설명함.
    3. 정부는 장성환 예비역 중장을 주태국대사로 내정하고, 동 대사에 대한 아그레망을 1964.9.16. 태국
    정부에 요청함. 장성환 대사는 1964.11.20. 박정희 대통령의 신임장을 Bhumibol Adulyadej 태국 국왕
    에게 제정함.
    4. 이수영 제3대 주유엔대사는 1961.7.7. 임명되었고, 김용식 제4대 주유엔대사는 1964.5.15. 임명되어
    부임함.
     주유엔대사는 부임에 앞서 청와대에서 거행되는 부임 선서식에 참석하며, 현지 부임 후 유엔사
    무총장에게 외무부장관의 주유엔대사(Permanent Observer of the Republic of Korea to United
    Nations) 임명 공한을 제출함.
mofa:relatedPerson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0"^^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