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88] 소련 · 중국(구 중공)의 남북한관계 현황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4988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소련 · 중국(구 중공)의 남북한관계 현황
skos:prefLabel
  • [4988] 소련 · 중국(구 중공)의 남북한관계 현황
skos:altLabel
  • 소련 · 중국(구 중공)의 남북한관계 현황
  • 소련·중국(구중공)의남북한관계현황
mofadocu:index_Num
  • 5747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1.3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C-0060
mofadocu:inFile
  • 10
mofadocu:inFrame
  • 0001-0010
mofadocu:openYear
  • 2004
bibo:abstract
  • 외무부 구주과에서 1973년 작성한 소련·중국(구 중공)의 대남북한 관계 현황 자료 내용은 아래와 같음.
    
    1. 소련·중국의 대한국 관계
    • 기본 입장
    - ‌소련은 점차 한반도의 현실, 즉 두 개의 한국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변화 중, 동 변화가 현 국제 정세 하에서 소련의 안보 이익에 합당하다고 판단
    - ‌여사한 정책에 따라 1971년 말부터 점진적으로 한국에 대한 적대적 태도 완화 조짐
    - ‌중국도 최근 점차 한반도의 현실을 중국 안보에 유리한 형태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이나 상금 한국에 접근하려는 움직임은 유보 중
    • 관계 개선을 위한 구체적 접촉
    - ‌소련
    한국 정부는 1971.12월 캐나다, 이탈리아, 스웨덴 주재 대사에게 대소련 접촉을 지시
    1974.4월 스웨덴 주재 양국 참사관 간 비공식 접촉 이래 대화 계속
    - ‌중국과는 구체적 접촉 전무
    • 인사 왕래
    - ‌소련인 이란축구단 코치의 1971년 방한, 외국 선박 승선 한국인 선원의 수차 소련 항구 상륙
    - ‌중국과의 인사왕래는 전무
    • 통상 관계
    - ‌소련과 간접무역을 시도했으나 미실현, 중국과는 시도 전무
    
    2. 소련·중국의 대북한 관계
    • 기본 입장
    - ‌소련의 대북한 관계는 최근 냉각 추세, 중·소분쟁 격화 이래 북한은 지리적, 역사적 배경 및 정치적, 이념적 관계에 따라 중국에 경도
    - ‌중국과 북한과의 관계는 최근 더욱 긴밀화 추세
    • 원조 및 무역 관계
    - ‌북한의 소련에 대한 의존도는 상당하며, 구체적 통계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북한은 국방과 경제 건설에 필요한 외자를 주로 소련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
    - ‌중국도 최근 북한에 상당액의 군사, 경제 원조를 제공 중인 것으로 관측
    - ‌북한의 소련과의 무역은 전체의 약 50% 점유
    - ‌북한의 중국과의 무역은 전체의 약 15% 점유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3"^^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