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50] 쿠바 정세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4850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쿠바 정세
skos:prefLabel
  • [4850] 쿠바 정세
skos:altLabel
  • 쿠바 정세
  • 쿠바정세
mofadocu:index_Num
  • 557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O-0033
mofadocu:inFile
  • 12
mofadocu:inFrame
  • 0001-0051
mofadocu:openYear
  • 2003
bibo:abstract
  • 쿠바의 1972년 주요 대외정책 동향임(외무부 정세보고 종합).
    
    1. 페루의 1972.7.8. 대쿠바 복교 조치 발표 이후 쿠바의 대중남미 관계 개선 활동 강화
    •미국의 막후 활동으로 1962.2월 OAS(미주국가기구)에서 축출된 바 있는 쿠바는 중남미 제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해 온바, 금번 페루와의 복교 실현으로 향후 역내 각국의 쿠바와의 복교 등 관계 개선 움직임이 본격화될 것으로 관측됨.
    •쿠바는 1962년 OAS 결의에 불복한 멕시코와 유일하게 외교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1969년 OAS에 가입한 자메이카와는 통상관계를 유지해 오는 한편 칠레 Marxist 아옌데 정권 수립 이후 1970.11월 칠레와 외교관계를 회복한 바 있음.
    •가이아나, 자메이카, 바베이도스 및 트리니다드토바고 등 Caribbean 4국은 1972.10월 합동회의에서 쿠바와의 외교관계 수립을 결의하고 12.12. 쿠바와의 복교를 공식 발표한바, 파나마, 에콰도르 및 베네수엘라도 쿠바와의 복교를 교섭 중인 것으로 파악됨. 
    •중남미 제국의 여사한 대쿠바 관계 개선 움직임은 카스트로의 외교적인 노력과 함께 최근 미국의 대중국(구 중공) 및 소련 화해정책의 영향에 따른 중남미 제국의 독자적인 외교정책 추구 경향이 본격화됨을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됨.
    
    2. 미국의 대쿠바 정책 동향
    •미국은 중국 및 러시아에 대한 화해정책에도 불구하고 쿠바에 대한 봉쇄 및 고립화정책을 고수하고 있으며, 단기적으로 1972.11월 대통령선거 이전에는 정책변경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전망됨.
    •미 국무부는 1971년 이전까지 학술회의 참석 목적의 미국인의 쿠바 방문을 허용치 않은바, 최근 쿠바와의 민간, 학술 교류 분야에서는 점차적으로 유화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OAS의 Galo Plaza 사무총장을 쿠바에 파견할 것을 검토 중인 한편 1972.6월 하바나 개최 11개국 간의 해양학회에 3명의 미국 학자 참석을 허용함. 
    
    3. 몽골 인민혁명당 제1서기의 쿠바 방문(1972.11.14.∼21.) 시 양국 간 공동성명 중 한반도 관련 언급
    •양국은 한국 국민들이 제국주의자들의 개입 없는 평화적, 민주적 통일을 위해 투쟁하고 있음을 지지함.
    •양국은 한국으로부터의 모든 외국 점령군의 철수를 요구하는 북한의 입장을 지지함.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1"^^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