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70] 한 · 미국 농산물 구매협정에 의한 미국 농산물 도입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4770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한 · 미국 농산물 구매협정에 의한 미국 농산물 도입
skos:prefLabel
  • [4770] 한 · 미국 농산물 구매협정에 의한 미국 농산물 도입
skos:altLabel
  • 한 · 미국 농산물 구매협정에 의한 미국 농산물 도입
  • 한·미국농산물구매협정에의한미국농산물도입
mofadocu:index_Num
  • 5486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61.52
mofadocu:inLol
  • M-0021
mofadocu:inFile
  • 21
mofadocu:inFrame
  • 0001-0142
mofadocu:openYear
  • 2003
bibo:abstract
  • 1. ‌주미국대사는 1972.4.25. PL480(미 원조공법) 미곡 50만 톤 중 34만 톤에 대한 지원이 결정되었으며 잔여 16만 톤에 대해서는 8~9월에 결정될 예정임을 아래와 같이 보고함.
    •캘리포니아 및 남부산 구매 수량은 한국이 결정함.
    •1972.6.30. 이전 선적 추가 PL480 3천만 달러 중 25백만 달러(소맥 및 옥수수)에 대해서는 지원 준비 중임.
    •5백만 달러 우지에 대해서는 2~3일 내 결정될 예정으로 조속한 지원을 요청 중임.
    
    2. ‌주미국대사는 1972.6.16. 뉴욕 주재 조달청 구매관과 협의하여 PL480 협정에 의한 34만 톤(톤당 
    148달러) 현미 도입을 위한 새로운 약정에 서명했음을 보고함.
    
    3. ‌주미국대사는 관련 전문 잡지인 W.PE지는 1972.12.9. ‘소맥, 기아 및 외교정책’ 제하 사설에서 미국산 소맥을 다량 구입하고 있는 소련 및 일본에 이어 중국(구 중공)이 미국산 소맥을 처음으로 구입했고, 
    인도도 흉작으로 미국산 소맥을 구입하기 시작했으며 소맥 수출국인 호주, 아르헨티나도 흉작이 
    예상되어 1973년에는 미국산 소맥 조달에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분석했음을 12.11. 보고함.
    
    4. ‌농림부는 1973년도 PL480 조건에 의한 지원 가능 시기와 수량에 대한 미국 측 입장 파악 및 1973년 소요량 중 1.5백만 톤 범위 내에서 최대량을 장기차관 조건으로 확보 가능토록 미국 측과 현지에서 교섭해 줄 것을 1972.12.13. 외무부에 요청함.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2"^^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