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10] Codex(공동식품규격위원회) 식품위생위원회, 제9차. Washington, D.C., 1972.6.19-23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4610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Codex(공동식품규격위원회) 식품위생위원회, 제9차. Washington, D.C., 1972.6.19-23
skos:prefLabel
  • [4610] Codex(공동식품규격위원회) 식품위생위원회, 제9차. Washington, D.C., 1972.6.19-23
skos:altLabel
  • Codex(공동식품규격위원회) 식품위생위원회, 제9차. Washington, D.C., 1972.6.19-23
  • codex(공동식품규격위원회)식품위생위원회,제9차.washington,d.c.,1972.6.19-23
mofadocu:index_Num
  • 5299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35.66
mofadocu:inLol
  • I-0041
mofadocu:inFile
  • 6
mofadocu:inFrame
  • 0001-0037
mofadocu:openYear
  • 2003
bibo:abstract
  • 정부는 1972.6.19.∼23. 워싱턴에서 개최되는 CODEX(공동식품규격위원회) 식품위생위원회 제9차 회의에 보건사회부 위생관리관실 박종공 식품위생담당관을 정부 대표로 파견함.
    
    1. 파견 목적
    •동 위원회는 FAO(유엔식량농업기구) 제11차 총회, WHO(세계보건기구) 제29차 집행위원회 및 1962년 제네바 개최 FAO/WHO 공동식품규격화회의의 권고에 따라 식품 소비자의 건강보호와 국제식품무역 장려를 위하여 1963년에 설립된 FAO/WHO 공동식품 규격화 계획의 총괄 기관으로서 설립 이래 제8차 회의를 개최함. 
    •한국은 동 위원회에 1970.5월 제76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하여 공동식품 규격화 계획 관계 회의에는 최초로 대표를 파견함.
    •세계 각국의 식품위생 규격 등에 관한 동향을 파악하고, 동 위원회에서 채택, 논의되는 제반 사항을 한국에서도 적용함.
    •한국 소비자의 건강 보호와 건전한 식품 생산을 위한 정책 수립 및 한국산 식품의 수출에 기여함. 
    
    2. 정부 훈령
    •각 의제 토의에 적극 참여하고, 회원국의 식품위생 규격 등에 관한 동향 및 국산 식품 수출 증진을 
    위한 정보를 최대한 수집하는 동시에 정부의 정책과 기본 입장을 충분히 반영시켜 식품위생 
    부문에서의 국제협력에 적극 참여함.
    •의제별 세부 훈령에 대하여는 보건사회부에서 작성한 훈령 자료를 참고하고, 본 훈령에 포함되지 
    않은 사항이 제기되었을 경우 일반적인 문제에 관하여는 대표 재량으로 처리하며 정책적인 
    사항에 대하여는 본국 정부에 청훈함.
    •보건사회부 훈령
    - ‌‌국제식품규정과 관련하여 국내 식품 공업 현황을 참고하여 가급적 국내 현실에 적합한 규격이 채택되도록 노력하고, 특히 수출이 가능한 식품에 대하여는 국산 제품이 국제 시장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규격 및 기준이 채택되도록 노력함.
    - ‌‌어패류, 생선 통조림 및 훈증 생선제품은 국산 제품의 수출 전망이 밝은 품목인 점을 유의하여 관련 
    국내법이 반영됨으로써 수출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며, 특히 수출 경쟁국 및 공산국가의 
    간접적인 수출 방해에 대비함.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2"^^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