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89] JUSMAG-K(주한미군군사지원단)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4489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JUSMAG-K(주한미군군사지원단)
skos:prefLabel
  • [4489] JUSMAG-K(주한미군군사지원단)
skos:altLabel
  • JUSMAG-K(주한미군군사지원단)
  • jusmag-k(주한미군군사지원단)
mofadocu:index_Num
  • 517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42
mofadocu:inLol
  • G-0028
mofadocu:inFile
  • 8
mofadocu:inFrame
  • 0001-0083
mofadocu:openYear
  • 2003
bibo:abstract
  • 1. ‌주한미국군사고문단(US Military Advisory Group to the Republic of Korea, KMAG) 설치 경과는 아래와 
    같음.
    •1882년 한·미 우호통상항해조약 체결
    •1988년 미국은 고종의 요청에 따라 William Dye 장군 등 전직 군인 3명을 한국에 파견
    •1945년 50여 명의 고문사절단 주둔
    •1948년 미군정 해체에 따라 임시군사고문단(Provisional Miliary Advisory Group, PMAG) 설치
    •1949.7.1. 주한미국군사고문단 설치(KMAG)
    •1971.4.1. 주한미국군사지원단(Joint Military Assistance Group, JUSMAG-K)으로 개칭
    
    2. ‌외무부는 1967.1.30. 내무부에 대한 공문을 통해 주한미국군사고문단 단원 및 동 가족은 1950.1.26. 한·미 간 체결된 주한미국군사고문단 설치에 관한 협정에 따라 한국 내에서의 특권과 면제 향유에 있어서 주한 미국대사관의 일부로 간주하기로 규정되어 있으며, 1967.2.9. 발효 예정인 SOFA(주둔군지위협정)에도 동 고문단은 SOFA 적용으로부터의 제외가 규정되어 있음을 통보함.
    •주한 미국대사관은 한국 관헌의 동일 군복을 착용하는 상기 협정 대상자에 대한 용이한 구별을 위해 군사고문단용 별도 신분증 양식을 제안함. 
    
    3. ‌박정희 대통령은 1971.3.1. 주한미육군고문단이 독립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종료하고 주한미합동군사원조단(JUSMAG-K)의 일부로 통합됨에 따라 그간의 공헌에 사의를 표하는 서한을 주한미육군고문단장(Joseph Pezdirtz 소장)에게 전달함.
mofa:relatedPerson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6"^^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