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72] 공관 경제활동보고-카메룬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4172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공관 경제활동보고-카메룬
skos:prefLabel
  • [4172] 공관 경제활동보고-카메룬
skos:altLabel
  • 공관 경제활동보고-카메룬
  • 공관경제활동보고-카메룬
mofadocu:index_Num
  • 4727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3.4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O-0032
mofadocu:inFile
  • 06
mofadocu:inFrame
  • 0001-0026
mofadocu:openYear
  • 2002
bibo:abstract
  • 1. 주카메룬대사는 1971.4.29. KOTRA 라고스 소장을 5월 하순경 시장개척 및 거래알선을 위하여 주재국 두알라 및 야운데 시에 출장할 수 있도록 대한무역진흥공사에 요청해 줄 것을 본부에 건의함.
    ●동 소장 출장 시 유망상품인 면포 잡화, 어망 및 어망사, 라디오, 선풍기, 벽시계 잡화의 견본 혹은 카탈로그를 지참할 것을 건의함.
    
    2. 주카메룬대사는 카메룬 정부가 1971.7.1.부터 시작되는 제3차 5개년계획에 대비하여 1971년도 예산을 전년 대비, 6.3% 증액하고 특히 경제, 사회 분야에 중점 배정하고 있는바, 교육 분야에 할당된 예산액은 총예산의 31%에 해당되며 전년대비 8.52% 증액된다고 보고함. 
    ●주재국 정부의 세제는 비교적 안정되었으며, 또한 주요 농산 수출품인 코코아, 커피, 목화씨, 고무, 종려유의 생산은 상당한 증가를 보이고 있음.
    ●국제무역수지는 1969년도에 2,026만 달러의 무역흑자를 보았으나 1970년도에는 1,618만 달러의 무역적자를 보았으며, 코코아 및 커피는 전 수출량의 60%에 달함.
    ●1971.5월 중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15,541달러로서 주요 품목은 면제품인 반면, 북한으로부터의 5월 중 수입액은 345달러로서 주요 품목은 가정용구임. 
    ●카메룬 수입상의 한국 상품에 대한 관심품목은 어망, 어망사, 와이셔츠 등 면제품, 전지, 녹음기 등 전기제품, 칫솔, 화학섬유, 가발 등임.
    
    3. 주카메룬대사관은 1971.12.14.~16. 현지 유력 수입상들을 방문, 상품 견본 및 상품 안내 팸플릿, 선전책자 등을 배포하고 한국 상품의 수입을 적극 권유함.
    ●1971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극히 제한된 인도계 수입상만이 어망, 의류, 칫솔, 건전지 등의 몇몇 한국 상품을 수입하는 실정이었으나 현지 유력 수입상 접촉 결과 인도계뿐만 아니라 유럽계 및 카메룬 현지 수입상들이 한국 상품에 높은 관심을 표명함.
    - 동 수입상들은 여행용 옷가방, 우산, 라디오, 가발, 시계 줄, 와이셔츠, 축구공, 플라스틱 구두, 우의, 수영복, 어망사, 재봉틀, 베어링, 장신구 등을 이미 수입하였거나 또는 수입을 희망함.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1"^^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