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92] 콜롬보플랜(Colombo Plan) 기술협력이사회 헌장 한국가입, 1963.1.29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3992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콜롬보플랜(Colombo Plan) 기술협력이사회 헌장 한국가입, 1963.1.29
skos:prefLabel
  • [3992] 콜롬보플랜(Colombo Plan) 기술협력이사회 헌장 한국가입, 1963.1.29
skos:altLabel
  • 콜롬보플랜(Colombo Plan) 기술협력이사회 헌장 한국가입, 1963.1.29
  • 콜롬보플랜(colomboplan)기술협력이사회헌장한국가입,1963.1.29
mofadocu:index_Num
  • 4542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42.21
mofadocu:inLol
  • J-0073
mofadocu:inFile
  • 11
mofadocu:inFrame
  • 0001-0197
mofadocu:openYear
  • 2002
bibo:abstract
  • 한국의 콜롬보플랜(Colombo Plan) 기술협력이사회 헌장 가입에 관한 문건으로,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1. ‘콜롬보플랜’의 운영, 회원국 및 업적과 아국의 콜롬보플랜 가입 경위에 관한 외무부 자료(1963.2)
    2. 콜롬보플랜 헌장 수락에 관한 각의 의결안(1963.4)
     가입 경위
    - 호주 개최 제14차 콜롬보플랜 자문위원회 정회원국 가입(1962.11.15) 및 기술협력이사회 회원국 가입
    (1963.1.29)
     가입 의의
    - 경제면(회원국과의 경제적 유대, 동남아제국과의 경제협력 기초 구축 및 교력증진)
    - 정치면(동남아시아에서의 고립배제, 동남아제국과의 문호개방, 대유엔 활동지원)
    - 문화면
     콜롬보플랜의 개요
    - 콜롬보플랜의 정식명칭은 남 및 동남 아시아의 경제개발협력을 위한 콜롬보플랜(The Colombo Plan
    for Cooperative Economic Development in South and South-East Asia)
    - 1950.11. 스리랑카(구 세일론) 수도 콜롬보에서 영연방 외상회의(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란드, 인도,
    스리랑카, 파키스탄) 개최
    - 1951.7.1. 콜롬보플랜 발효
    - 정회원국 21개국(영연방제국 9개국 및 한국, 일본 미국 등 여타 12개국)과 준회원국 3개국
    - 콜롬보플랜 기구로는 자문위원회, 기술협력이사회 및 사무국이 있음
     콜롬보플랜 헌장(국·영문)
    - 전문 및 기능, 기구, 행정, 기술협력 계획의 운영 등 29개 조항으로 구성
    3. 상기 헌장 수락안 각의 의결(1963.4.23) 및 국가재건최고회의 동의(1963.5.7)
    4. 법령공포(조약 제112호) 및 관보게재(국·영문)
    5. 자료(Colombo Plan Bureau 발간)
     1962년도 The Colombo Plan Basic Information
     1962년도 The Colombo Plan(Facts and Figures)
     1962년도 Colombo Plan Council for Technical Cooperation(Constitution and Rules)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3"^^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