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15] 이라크 정세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3415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이라크 정세
skos:prefLabel
  • [3415] 이라크 정세
skos:altLabel
  • 이라크 정세
  • 이라크정세
mofadocu:index_Num
  • 3921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inLol
  • O-0028
mofadocu:inFile
  • 15
mofadocu:inFrame
  • 0001-0017
mofadocu:openYear
  • 2001
bibo:abstract
  • 1. 1970.2.7.~10. Abdel Rahman Aref 이라크 대통령의 프랑스 방문결과는 다음과 같음.
    o 드골 프랑스 대통령과 3차례 회담을 개최하여 양국 정부 공동성명을 발표, 이스라엘의 우선적인 철
    수를 주장하고 그 외의 구체적 진전은 별무
    o 회담 시 주요 논의사항
    - 프랑스에 대한 이라크 Roumeila 유전 개발권 부여 문제
    · 가능한 한 양국 간의 경제협력 촉진을 위한 자재공급 및 자원개발에 깊은 관심 표명
    · Aref 대통령은 외국에의 유전개발권 부여제한과 대신 개발·상업화 위탁 및 특혜부여 계약에 대해
    언급
    - 프랑스의 대이라크 무기 공급 문제
    · 이라크의 독립과 평화유지에 관계되는 범위 내에서 양국 정부 검토
    · 미라지 전투기를 위시한 각종 무기 공급 검토
    o 중동전쟁 문제
    - 1967.11.27.자 유엔 안보리 결의를 재확인 및 이스라엘군의 아랍점령지 우선철수 합의
    - 이스라엘 언론은 프랑스의 친아랍정책을 비난
    · 중립주의 진영 탈피 및 아랍·소련 진영으로의 전환을 적대행위라고 비난
    2. 이라크의 주요인사 동향은 다음과 같음.
    o 1968년 Baathists당 혁명 후 실세 부통령 Hardan Takrit가 현재 알제리에 망명 중
    - 혁명 후 한때 권력실세로 등장, 공군사령관 및 국방부장관 겸직
    - 1970.10.15. 모든 행정부 및 군부요직을 박탈당하고 외무부 소속 대사직으로 탈락
    o 대통령 Al-bakr의 조카이며 당 부대표인 32세의 Saddam Hussein Takiriti가 실권 장악
    o 또 다른 부통령인 전 내무장관 Amash도 연금 상태
mofa:relatedPerson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8"^^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