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89] 중국(구 중공)의 UN(유엔) 가입 추진 및 각국의 중국 승인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3189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중국(구 중공)의 UN(유엔) 가입 추진 및 각국의 중국 승인
skos:prefLabel
  • [3189] 중국(구 중공)의 UN(유엔) 가입 추진 및 각국의 중국 승인
skos:altLabel
  • 중국(구 중공)의 UN(유엔) 가입 추진 및 각국의 중국 승인
  • 중국(구중공)의un(유엔)가입추진및각국의중국승인
mofadocu:index_Num
  • 3687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31.2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H-0014
mofadocu:inFile
  • 5
mofadocu:inFrame
  • 0001-0283
mofadocu:openYear
  • 2001
bibo:abstract
  • 1. 각국의 중국(구 중공) 승인
    o 캐나다: 1970.10.13. 캐나다·중국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을 발표한바, 주대만(구 자유중국)
    대사는 대만이 캐나다의 중국 승인을 예상한 바 있어 큰 자극을 받은 기색은 없으나 유엔 창립 25
    주년을 기념하는 주요 시기에 캐나다의 중국 승인이 영연방에 연쇄 작용을 일으키지 않을까 염려하
    고 있다고 보고함.
    - 미 국무성 대변인은 대만의 국제적 지위에 좋지 못한 영향을 가져오게 될 것을 염려한다고 하고 미
    국의 대중국 정책은 변동 없을 것임을 명백히 함.
    o 이탈리아: 1970.11.6. 중국과 수교 공동성명을 발표함. 외무부는 대만 측의 요청에 따라 중국 승인
    을 제25차 유엔총회 이후로 미루어 줄 것을 10.28. 이탈리아 측에 요청한바, 이탈리아 측은 같은
    요청을 미국, 호주, 뉴질랜드로부터도 받았다고 하고 자국의 국내정치적 상황으로 승인 연기는 어렵
    다는 반응을 보였음.
    - 주이탈리아 대만대사는 이탈리아와의 단교를 발표하고 11.6. 로마를 출발, 귀국함.
    - 미 국무성 대변인은 이탈리아가 중국 승인 의사를 사전 통보해 온 바 있다고 하고 미국은 알바니아
    결의안(중국 유엔가입/대만 축출)을 계속 반대할 것이라고 밝힘.
    o 에티오피아: 1970.12.11. 중국과 수교에 합의하였음을 발표함.
    2. 중국의 유엔가입 추진
    o 미 국무성 Green 차관보는 1970.10.6. 의회 증언에서 중국이 유엔가입에 대한 관심을 표시하는 등
    외교 공세를 강화하고 있는바, 제25차 총회에서의 투표에 영향을 주기에는 늦은 감이 있다고 발언
    함.
    - 백악관 대변인은 대만 축출을 대가로 하는 중국의 유엔가입은 전적으로 반대한다는 입장을 11.13.
    재천명함.
    o 11.12.부터 시작된 중국대표권 문제 토의에서 캐나다는 중국의 가입에 찬성하면서 절차상으로 금년
    에 한하여 중국 가입문제의 중요문제 지정 결의안을 지지하겠다고 발언함. 주이탈리아대사는 주재국
    정부가 중국의 가입에 찬성하고 중요문제 지정 결의도 캐나다와 같이 찬성할 것으로 시사하였다고
    보고함.
    o 11.20. 중국대표권 문제 표결이 이루어진바, 중요문제 지정 결의안은 찬성 66, 반대 52, 기권 7, 결
    석 2로 가결되고 중국 가입안은 찬성 51, 반대 49, 기권 25, 결석 2로 부결됨.
    - 외무부는 동 투표결과를 전 재외공관에 통보하여 한국문제 지지교섭에 참고토록 함.
    - 미국은 이 새로운 상황이 의미하는 바를 우방국들과의 긴밀한 협의하에 검토할 것이라고 하였고, 대
    만은 중국 지지표가 대만 지지표보다 다수였지만 중국의 유엔가입은 저지되었다고 발표함.
    o 일본이 분단국가들을 동시에 유엔에 가입시키기 위한 결의안의 명년 유엔총회 제출 가능성을
    미국과 협의할 계획이라는 12.12.자 공동통신 보도에 대하여 확인한바, 일본 측은 알바니아 결의안 표
    결 결과로 보아 중국대표권 문제에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취지에서 각국 대표들
    이 유엔 로비에서 얘기하는 중에 나온 하나의 의견에 지나지 않으며 일본이 그러한 안을 구상하고 있
    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답변함.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0"^^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