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90] 크메르 사태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2890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크메르 사태
skos:prefLabel
  • [2890] 크메르 사태
skos:altLabel
  • 크메르 사태
  • 크메르사태
mofadocu:index_Num
  • 3326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O-0026
mofadocu:inFile
  • 6
mofadocu:inFrame
  • 0001-0027
mofadocu:openYear
  • 2000
bibo:abstract
  • 1. Porter 주한 미국대사는 1969.4.11. 최규하 외무장관과의 면담 시 미국・캄보디아간 외교관계 재개문제에 관해 다음과 같이 사전에 알려 줌.
     캄보디아 문제에 관하여 미국은 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며, 성명 내용은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the UN Charter, the USA recognizes and respects the soverignty, independence, neutrality and territorial integrity of the Kingdom of Cambodia within the present frontiers”로 될 것임. 이 문제에 관해서는 태국, 라오스 및 월남과 협의함.
     현재 캄보디아에 미국 군인이 억류되어 있는데, 캄보디아는 최근 미국의 이익대표국인 호주를 통하여 이들을 석방할 용의가 있음을 시사함.
     캄보디아의 시아누크공은 외국 정부가 캄보디아의 국경을 확인하는 성명을 내 줄 것을 희망하고 있으며, 현재 약 40여개국이 성명을 냄. 미국과 캄보디아간 국교수립 문제에 관해 아직 구체적 얘기는 없으며, 미국은 위에 말한 성명을 4.15. 발표하고 캄보디아측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를 관찰할 것임.
    2. 주미국대사는 1969.4.17. 외무부에 다음과 같이 보고함.
     미국 정부는 4.12. 성명서를 발표하여 캄보디아와의 외교관계 재개를 위한 외교적 이니시어티브를 취하였으며, 캄보디아의 시아누크 국가원수도 미국 정부의 성명을 환영하고 국교 재개 필요성을 인정함.
     양국간 국교단절이래 시아누크 국가원수는 미국측에 캄보디아 국경선을 인정할 것을 요청해 왔으나, 미국측은 월남 및 태국의 입장 때문에 국경선 인정선언을 하지 못했던 것으로 관측됨.
     미 국무성은 시아누크 국가원수의 반응을 환영하면서, 캄보디아와 외교관계 재개를 위한 교섭이 조만간 시작될 것이라고 밝힘.
    3. Rogers 미 국무장관은 1969.7.2. 기자회견을 통하여 미국과 캄보디아는 베트남전으로 인하여 야기된 국경문제 분규 때문에 4년간 단절되었던 양국간 외교관계를 대사대리급 외교관계로 재개하는데 합의했다고 발표함.
mofa:relatedPerson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9"^^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