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16] 북한의 도발현황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2716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북한의 도발현황
skos:prefLabel
  • [2716] 북한의 도발현황
skos:altLabel
  • 북한의 도발현황
  • 북한의도발현황
mofadocu:index_Num
  • 3147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55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G-0016
mofadocu:inFile
  • 7
mofadocu:inFrame
  • 0001-0178
mofadocu:openYear
  • 2000
bibo:abstract
  • 1. 정부는 재외공관에 북한의 휴전선 침투 및 휴전협정 위반 현황, 유엔군 및 한국군 피해상황, 후방지역 간첩・공비 검거사살 현황 등에 대한 자료를 송부, 북한의 비인도적, 도발적 만행을 규탄하는 홍보활동을 전개하도록 조치함.
     주요 침투사건
    - 충남 서산 무장간첩사건(1968.11월), 울진 봉화 삼척 무장공비사건(1968.11월), 강원 북평 무장공비사건(1969.6월), 흑산도 간첩선침투사건(1969.6월), 전북 부안 무장공비사건(1969.6월) 등
    2. UNCURK(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단)은 연례적으로 유엔사무총장에게 제출하는 북한침투상황에 관한 보고서 작성과 관련하여, 한국 대간첩작전본부와 정기적으로 접촉하여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기로 함.
    3. 본 문서철에 수록된 주요 자료
     North Korean Communists' Acts against the ROK in Violation of the Armistice Agreement (68.5.28. 외무부)
     북한 도발행위에 대한 정부 각서(1969.6.24.)
     북한 도발현황(69.10.30. 대간첩대책본부)
    - 기본전략, 비정규전 능력, 대남공작활동 추세 및 현황, 공작전술 특징, 68/69년 주요사건 개요
     북한의 대한민국에 대한 무장침투 현황(1969.10.31. 외무부 구미국)
    - 니제르 대통령에 수교한 자료(국문 및 영문 번역본)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7"^^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