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2] 신정부 승인 - 리비아, 1969.9.13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2602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신정부 승인 - 리비아, 1969.9.13
skos:prefLabel
  • [2602] 신정부 승인 - 리비아, 1969.9.13
skos:altLabel
  • 신정부 승인 - 리비아, 1969.9.13
  • 신정부승인-리비아,1969.9.13
mofadocu:index_Num
  • 3001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2.5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C-0032
mofadocu:inFile
  • 8
mofadocu:inFrame
  • 0001-0032
mofadocu:openYear
  • 2000
bibo:abstract
  • 1. 1969.9.12. 개최된 국무회의는 1969.9.1. 육군 쿠데타로 입헌군주국에서 공화국이 된 리비아아랍공화국에 대하여 외무부장관이 상정한 ‘리비아아랍공화국정부 승인’ 안건을 의결하였으며, 안건 제안 이유는 다음과 같음.
     우리의 신정부에 대한 기본정책은 신정부가 공산정권이 아닌 한 조속히 승인하여 우리와의 관계를 돈독히 하는데 있음.
     리비아 혁명정권은 ‘자유, 사회주의, 아랍통합’을 혁명구호로 내세워 사회주의 노선을 표방할 것으로 관측되나, 현재로서는 그 진로와 성격이 뚜렷하지 않음.
     신정권은 성명을 통해 모든 국제공약을 준수하며, 외국인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것과 대외정책에는 변동이 없음을 다짐함.
     리비아는 세계 유수의 석유 생산국으로서, 국토의 대부분이 사막이며 경제는 주로 석유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관계로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과 우호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됨.
     1969.9.1. 신정부 수립 후 자국 석유에 대한 권익 보호를 위하여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이 신정권을 승인하였으며, 미국 역시 군사적, 경제적 이유로 신정권을 승인함.
     리비아는 막대한 석유자원과 유럽 제국 및 미국의 시설투자와 개발에도 불구하고 방대한 면적에 비하여 인력 부족을 느끼고 있는 바, 우리로서는 인력 수출 및 수출시장 개척의 여지가 있으므로, 리비아 신정권을 승인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임.
    2. 최규하 외무장관은 1969.9.13.자 리비아 신정부 외무장관 앞 전문으로 한국정부가 리비아 신정부를 승인함을 통보함.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9"^^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