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94] 중공의 핵전력개발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229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중공의 핵전력개발
skos:prefLabel
  • [2294] 중공의 핵전력개발
skos:altLabel
  • 중공의 핵전력개발
  • 중공의핵전력개발
mofadocu:index_Num
  • 2672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73
mofadocu:inLol
  • G-0011
mofadocu:inFile
  • 9
mofadocu:inFrame
  • 0001-0054
mofadocu:openYear
  • 1999
bibo:abstract
  • 1. 1967.8월 미국 하원은 ʻʻ중국(구 중공)의 핵무기가 미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ʼʼ 제하로 아래와 같은 보고서를 채택함.
     1967.6월 중국이 단행한 제6차 핵실험은 최초의 메가톤급 수소폭탄이며 항공기 탑재가 가능할 정도로 소형화에 성공한 것
     1970년까지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에 탑재할 수 있는 소형화된 다탄두(MRBM) 개발 전망
     1970년대 초반에는 중국의 핵전력이 미국에 대한 현실적 위협으로 등장하고 미국의 동아시아 외교 전략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
    2. 1968.3월 외무부는 중국의 핵전력에 대한 대책 검토를 위해 주미국대사관에 미국의 미사일 요격망(ABM) 설치 계획을 파악토록 지시하였으며 주미국대사관은 아래와 같이 보고함.
     미국 의회와 군부 일각에 소련의 핵위협에 대한 대책으로 ABM을 설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으나 행정부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데 비해 실효성에 의문이 있다며 소극적이고 대량보복 능력에 역점을 둔다는 입장을 고수
     중국의 핵전력이 강화됨에 따라 ABM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에는 착수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7"^^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