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68] 사우디아라비아 정세, 1984-85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22068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사우디아라비아 정세, 1984-85
skos:prefLabel
  • [22068] 사우디아라비아 정세, 1984-85
skos:altLabel
  • 사우디아라비아 정세, 1984-85
  • 사우디아라비아정세,1984-85
mofadocu:index_Num
  • 22900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5-0092
mofadocu:inFile
  • 17
mofadocu:inFrame
  • 0001-0070
mofadocu:openYear
  • 2016
bibo:abstract
  • 1. 경제 성장
     • ‌1980년 이후 추진 중인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기간 중 가장 저조한 5%의 성장률을 기록한바, 석유 부문 포함 시 석유 수입 격감 및 긴축재정 시행의 결과로 약 마이너스 15%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됨.
    • ‌정부는 과도한 석유 의존형 경제구조에서 탈피하기 위한 산업구조 다변화 및 과거의 고속 성장 추진에서 
    안정 성장으로의 개발정책 선회를 추진 중임. 
    
    2. 석유 생산 및 수출
    • ‌1982년 이후 생산 감소 추세가 계속되어 84년 중 일산 350∼450만 b/d 로 격감하였으며 동 기간 중 수출액은 전년 대비 44% 감소한 약 410억 달러로 추정됨.
    • ‌동 석유 생산 및 수출 감소는 1983.3월 런던의 OPEC(석유수출국기구) 회의에서 결정된 기준 유가 인하조치에도 불구하고 세계 원유 수요 감소 추세가 계속되고 있음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됨.
    
    3. 무역 및 국제수지
    • ‌수출은 472억 달러로 전년 대비 35.3% 감소하였으며 수입은 371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4% 감소함.
    • ‌미국, 서유럽 및 일본의 점유율이 수출이 62%, 수입의 75%를 각각 기록하고 있으며 주요 수입 품목은 장비 및 수송기기 40%, 기타 건축자재, 식료품 및 섬유류 등임.
    • ‌원유 수출 감소로 인한 무역수지 악화로 111억 달러의 경상수지 적자를 기록함.
    
    4. 금융 사고
    • ‌1982년 이후 석유 수입의 격감 및 재정지출 삭감의 영향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및 
    바레인 등에서 금융권의 부도, 부정대출 등 금융 사고가 계속됨.
    •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Saudi Cairo Bank의 부정대출 사건 등 금융 사고에 따른 약 2억 달러 이상의 손실이 초래된바, 석유 수입 감소 등에 따른 경제적 요인 외에 금융 기법의 낙후, 중앙은행의 감독 기능 미흡, 경영 체제의 후진성 등의 문제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됨.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4"^^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