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409] UN 세계 여성회의. Nairobi(케냐) 1985.7.15-26. 전3권. 회의결과 보고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21409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UN 세계 여성회의. Nairobi(케냐) 1985.7.15-26. 전3권.
skos:prefLabel
  • [21409] UN 세계 여성회의. Nairobi(케냐) 1985.7.15-26. 전3권. 회의결과 보고
skos:altLabel
  • UN 세계 여성회의. Nairobi(케냐) 1985.7.15-26. 전3권.
  • un세계여성회의.nairobi(케냐)1985.7.15-26.전3권.
mofadocu:index_Num
  • 22219
mofadocu:volumeNum
  • V.3
mofadocu:volumeName
  • 회의결과 보고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34.43
mofadocu:inLol
  • 2015-0052
mofadocu:inFile
  • 02
mofadocu:inFrame
  • 0001-0122
mofadocu:openYear
  • 2016
bibo:abstract
  • 유엔 세계여성회의(1985.7.15.∼26. 케냐 나이로비) 대표단은 동 회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보고함. 
    
    1. 회의 경과
    • ‌회의 의사규칙 문제에서 의사 결정을 컨센서스로 해야 한다는 주장과 다수결로 하자는 주장이 대립된 가운데 ‘향후 여성발전전략(FLS, Forward-looking Strategy)’만은 컨센서스로 채택하자고 캐나다가 제안한 데 대해, 77그룹이 이를 일부 조정, FLS를 가능한 한 컨센서스로 채택해야 한다는 규정을 두어 일종의 도덕적 책임을 부여한다는 선에서 양해, 그룹 간 합의가 이루어짐.
    • ‌7.15. 개막한 동 회의는 본회의에서 기조연설을 진행하는 한편 제1, 제2 위원회로 나누어 FLS를 심의함. 한국 수석대표(김현자 의원)는 7.17., 북한 수석대표(여연구 조선최고인민회의 부의장)는 7.18. 기조연설한바, 북한 측이 
    한반도 문제(북한의 3자회담 제의 등)를 언급함에 따라 한국 대표단이 답변권을 통해 한반도 문제에 관한 
    기본 입장을 밝힘. 
    • ‌기조연설 및 위원회 토의 시 다음을 포함, 다수의 답변권 행사가 이루어짐.
    - ‌인도네시아 (기니비사우, 잠비아, 앙골라 등의 동티모르 문제 거론)
    - ‌터키 (사이프러스 문제)
    -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아가단 분쟁)
    - ‌모로코 (알제리의 서부사하라 문제 언급)
    - ‌중국(구 중공) (아프가니스탄의 중국 패권주의 언급) 
    • ‌회의는 7.27. 새벽 ‘향후 여성발전전략’을 채택하고 종료한바, 본회의에서 처리하지 못한 각종 결의·결정안은 회의 보고서에 수록하여 유엔 총회에 회부하기로 함.
    
    2. 종합 관찰
    • ‌주 의제는 ‘여성 문제’이나 참가국은 여성 문제보다 정치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보여 국제문제 토론장이 된 느낌임.
    • ‌미국은 전체적으로 공격의 대상이 되고 수세에 몰림.
    • ‌남북한은 기조연설 시 각자의 입장을 밝히는 데 그치고 비난 발언을 삼가, 여타 분쟁지역 대표의 격렬한 
    상호 비방발언과 대조를 이룸. 
    • ‌북한은 소련 대표와 자주 비공식 접촉하였으며, 한국 대표의 답변권 행사 시 중국 대표가 자리를 지키지 
    않은 점 등에 비추어 중국은 남북한 분쟁에 말려들지 않으려는 인상을 주는 것으로 감지됨.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5"^^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