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404] 캄푸챠인의 인도적 긴급구호를 위한 공여국 회의. New York, 1985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2140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캄푸챠인의 인도적 긴급구호를 위한 공여국 회의. New York, 1985
skos:prefLabel
  • [21404] 캄푸챠인의 인도적 긴급구호를 위한 공여국 회의. New York, 1985
skos:altLabel
  • 캄푸챠인의 인도적 긴급구호를 위한 공여국 회의. New York, 1985
  • 캄푸챠인의인도적긴급구호를위한공여국회의.newyork,1985
mofadocu:index_Num
  • 2221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34.33
mofadocu:inLol
  • 2015-0051
mofadocu:inFile
  • 10
mofadocu:inFrame
  • 0001-0306
mofadocu:openYear
  • 2016
bibo:abstract
  • 본 문건은 1985년도에 유엔 본부에서 개최된 4차례의 ‘캄푸치아인 인도적 지원 공여국 회의
    (Meeting of Donors to the Program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the Kampuchean People)’ 결과 및 동 회의 관련 자료 등임. (동 회의는 캄푸치아인에 대한 인도적 지원계획 시행 
    경과를 평가하고 캄푸치아 구호사업에 대한 각국의 기여금 서약을 위해 개최되는바, 한국은 
    1980년 및 81년 인지난민 구호기금을 지원한 이래 유엔사무국 초청에 따라 공여국 회의에 정식으로 참가함.) 
    
    1. 1985.2.20. 회의
    • ‌미국, 영국, 일본, 중국(구 중공),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프랑스, 서독, 이탈리아, 스위스 등 18개국이 참석, 발언한바, 미국, 영국, 중국, 태국 등은 최근 베트남군의 캄푸치아인 캠프 침공을 강력히 규탄하고 베트남군이 유엔 결의에 따라 캄푸치아로부터 철수할 것을 주장함.
    • ‌미국, 일본, 중국, 서독, 프랑스, 이탈리아, 노르웨이 등 국가가 캄푸치아 구호기금에 대한 지원을 서약함. 
    • ‌소련 등 동구권 국가들은 종전 예에 따라 참석하지 않음.
    • ‌주유엔대사는 상기 회의 결과를 보고하면서 유엔에서의 서약을 통해 다소나마 기여함으로써 외교 효과를 
    도모함이 바람직하다고 건의함. 
    
    2. 1985.5.2. 회의 
    • ‌외무부는 유엔 국경구호단(UNBRO)에 대한 구호기금 2만 달러 지원 등을 결정하고 상기 회의에 참석, 이러한 입장을 표명토록 주유엔대표부에 지시함.
    • ‌5.2. 개최된 회의에서 한국 외에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미국, 서독, 스웨덴, 벨기에, 덴마크 등이 추가 서약함.
    • ‌유엔 사무총장의 캄푸치아 인도적 지원계획 특사는 지난 6년간의 캄푸치아 인도적 지원 계획이 2차 대전 
    이후 가장 잘 조직되고 큰 규모의 원조였다고 평가함. 
    
    3. 1985.9.11. 회의
    • ‌유엔 측은 1986년도 UNBRO 예산을 39백만 달러 선으로 증액할 필요성과 85년도 말까지 및 86년도 1/4분기 
    현금 필요액을 설명함.
    • ‌미국, 일본, 영국, 뉴질랜드, 오스트리아, 핀란드 등이 지원 서약함.
    
    4. 1985.11.25. 회의
    • ‌유엔 측은 UNBRO의 1986년도 소요 예산을 35.9백만 달러로 보고하고 86년 중 UNBRO 수혜대상이 250,000명
    이라고 설명함.
    • ‌호주, 브루나이, EC, 서독, 영국, 스웨덴 등이 추가 서약함.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5"^^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