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50] 북한·인도 관계, 1985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21150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북한·인도 관계, 1985
skos:prefLabel
  • [21150] 북한·인도 관계, 1985
skos:altLabel
  • 북한·인도 관계, 1985
  • 북한·인도관계,1985
mofadocu:index_Num
  • 21930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5.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5-0032
mofadocu:inFile
  • 17
mofadocu:inFrame
  • 0001-0063
mofadocu:openYear
  • 2016
bibo:abstract
  • 1. 주인도대사관은 1985.1.24. 북한의 3자회담 지지 성명에 서명한 인도 국회의원의 숫자가 1984년 34명에서 85년 17명으로 감소하였다고 보고하면서 동 배경을 다음과 같이 분석함.
    • ‌주인도대사관이 꾸준히 전개해 온 대의회 관계 강화 활동, 특히 총선 발표 직후 CONG(I) 소속 당선 의원 
    408명에 대하여 축하 서한 공세를 편 것이 주효함.
    • ‌또한 효과적인 언론 접촉 활동으로 북한의 제의가 작년에는 3개 일간지에 보도되고 외신으로 확산된 바 있으나, 금년에는 공산당계 일간지 Patriot지에만 보도되었을 뿐임.
    
    2. 인·조 친선협회는 1985.6.25. 뉴델리에서 반미 공동투쟁월간(6.25.~7.27.) 기념 공중집회를 개최한바, Saathi 델리 시장을 주빈으로 공산당 사무총장, 당서기를 비롯, 친북 학계인사 등 약 80명이 참석함(주인도대사관 보고).
    • ‌동 집회는 주한미군 철수, 남북 국회회담과 민주회복 및 평화통일을 위해 독재 정부와 투쟁하는 남한 인민을 지지하는 결의문과 김일성 앞 찬양 메시지를 채택함.
    • ‌금년 행사에는 소수의 친북 및 방북 인사 외에는 인도 요로와 일반대중의 호응을 받지 못하고 규모도 작년
    (약 100명)에 비해 축소되었음.
    
    3. 인도 공산당(CPI) 사절단은 북한 노동당 초청에 따라 1985.9.24. 인도 출발, 모스크바를 경유, 방북
    하였으며 약 1주간 체류함(주인도대사관 보고).
    • ‌사절단 구성은 Rajeswara Rao CPI 사무총장 외에 Promode Gogoi Assam 주 당서기 겸 중앙집행위원, Ibohal Singh Manipur 주 당서기임.
    
    4. 비동맹 청년회의가 1985.11.19.~21. 91개국 대표 약 3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인도에서 개최된바, 북한은 노동청년연맹 부의장 현석 외 2명이 참석함.
    • ‌동 회의 시 남아공화국, 나미비아, PLO, 군축 문제가 중점 논의되었으며 미국의 대니카라과, 남아공화국 
    정책에 대한 비난 발언이 많았음.
    • ‌북한 대표단은 최종 선언문에 한반도 문제 조항 삽입을 시도하였으나, 타국의 호응을 받지 못해 채택되지 않음.
    
    5. 제6차 인도-북한 무역회담이 인도에서 1985.12.15.~18. 개최된바, 동 회담과 관련하여 현지의 Financial Express 및 Economic Times는 다음 요지의 기사를 게재함.
    • ‌북한 측은 인도산 소맥과 바터 조건으로 시멘트의 대인도 추가 수출을 제의하였으며, 그밖에 상호 관세인하, 경제기술협력 강화, 양국 수요품목에 관한 정보 교환 및 실업인단의 상호 정기적 방문 등을 제의함.
    • ‌인도 측은 양국 간 교역 축소 추세에 우려를 표명하고 북한의 인도 상품 수입 확대를 요망함.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Person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5"^^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